본문 바로가기

월드컵

허정무호, '박지성 그늘'에서 벗어나야 한다 에이스의 위력은 실전에서 유감없이 발휘됩니다. 위기 상황에서 에이스의 진가가 더욱 빛나듯 에이스들은 벼랑 끝의 순간에서 팀을 구원하는 구세주로 등장합니다. 그 한 명이 팀의 성패를 쥐고 흔드는 것이죠. 허정무호에서 '산소탱크' 박지성(28, 맨체스터 유나이티드, 이하 맨유)은 에이스 그 이상의 존재입니다. 그는 지난 2004년 아시안컵을 시작으로 한국 공격을 이끄는 에이스로 활약하면서 팀 전력에 적지않은 영향력을 발휘했던 선수입니다. 팀에서 가장 기동력이 좋고, 패싱력이 정확하고, 공격 활로를 개척할 수 있고, 다른 선수보다 월등한 공격력을 앞세워 팀의 공격을 주도하고, 여기에 골 까지 넣으면서 대표팀의 경기 내용과 결과를 좌우하는 존재로 떠올랐습니다. 그래서 등장한 말이 '박지성 시프트'였습니다. 그러.. 더보기
한국은 월드컵 16강 도전, 일본은 왜 4강이 목표? "태극전사들은 남아공에서 사고치고 싶은 욕망이 크다. 월드컵 원정 16강 진출이 목표다"(허정무 한국 감독) "월드컵 본선에서 선수들이 열심히 싸워주길 바라며, 4강 진입을 목표로 하겠다"(오카다 다케시 일본 감독) 한국과 일본의 2010 남아프리카 공화국 월드컵 본선의 목표는 서로 다릅니다. 허정무 감독은 지난 7일 아랍에미리트연합(UAE)전 2-0 승리 후 월드컵 본선 16강 진출이 목표라고 말한 반면에 오카다 감독은 이에 앞서 열린 6일 우즈베키스탄전 1-0 승리 후 월드컵 본선 4강 진출에 도전하겠다는 뜻을 나타냈죠. 한일 대표팀의 경기력이 서로 비슷하다는 점을 상기하면 목표가 다르다는 것이 색다릅니다. 사실, 아시아 국가가 16강 토너먼트에 진출하는 경우는 드뭅니다. 역대 18번의 월드컵 대회에.. 더보기
'진돗개' 허정무, 국내 감독 편견 깬 '선구자' 지난해 2007년 12월 이었습니다. 5개월째 공석이었던 국가 대표팀 감독직을 놓고 축구계 안팎에서 시끄러웠던 시기였죠. 당초 대한축구협회(KFA)는 그 자리에 외국인 감독을 앉히려고 했습니다. 제라르 울리에(전 리옹) 마이클 매카시(울버햄튼) 감독 중에 한 명을 영입할 계획이었죠. 하지만 두 감독이 한국 대표팀 사령탑을 원하지 않으면서 끝내 물거품으로 되돌아가고 말았습니다. 결국 대한축구협회는 울며 겨자먹기 식으로 국내 감독에 눈을 돌렸습니다. 울리에-매카시 감독 영입 실패 하루만에 허정무 전남 감독을 대표팀 사령탑에 내정한 것이죠. 허 감독은 이미 대표팀 사령탑 경험이 있는데다 당시 2년 연속 FA컵 우승으로 토너먼트와 단기전에 강한 면모를 보였기 때문에 대한축구협회가 주저없이 영입을 결정했던 것입니.. 더보기
허정무호, 월드컵 16강 위해 자만 버려라 허정무 감독이 이끄는 한국 축구 대표팀이 7회 연속 월드컵 본선 진출의 쾌거를 달성했습니다. 그것도 '죽음의 조'로 손꼽히던 아시아지역 B조에서 1위(4승2무)로 월드컵 본선 진출을 확정지었습니다. 남은 두 경기와 상관없이 조기에 월드컵 진출 했습니다. 우선, 한국의 7회 연속 월드컵 본선 진출은 브라질, 독일, 이탈리아, 아르헨티나, 스페인에 이은 여섯번째 대기록입니다. 세계적인 축구강국과 어깨를 나란히 할 수 있는 위치에 있다는 점에서 의미가 남다릅니다. 물론 각 대륙중에서 월드컵 성적이 취약했던 아시아 지역이라는 한계가 있지만 7회 연속 월드컵 본선 진출을 통해 '아시아 축구 강호'라는 명분을 또 한 번 심게 되었습니다. 하지만 월드컵 본선 진출에 만족해서는 안됩니다. 한국 축구가 1954년 스위스.. 더보기
허정무호 월드컵 드라마, '세대교체의 성공' '김남일도 없고, 안정환도 없고, 설기현도 없고, 이천수까지 빠졌는데 어떻게 잘할까?' 베이징 올림픽 금메달과 월드 베이스볼 클래식(WBC) 준우승을 달성했던 한국 야구만이 세대교체에 성공한 것은 아닙니다. 야구와 더불어 스포츠 양대산맥을 형성하는 축구도 세대교체에 성공했습니다. 허정무 감독이 이끄는 한국 축구 대표팀이 젊은 선수 위주로 세대교체를 단행한 끝에 결국 7회 연속 월드컵 본선 진출이라는 값진 수확물을 올렸습니다. 물론 이것은 1차적인 성공작이며 그 다음 성공작은 2010년 남아프리카 공화국 월드컵 16강 진출, 3차 성공작은 허정무호 전력의 구성원들이 향후 오랫동안 한국 축구의 흐름을 좌지우지하는 것입니다. 지금까지의 흐름대로라면 2~3차 과정도 무난할 것임에 분명합니다. 그 원동력은 다름 .. 더보기
'12명 교체' 대표팀 평가전, 재미없다 언제부턴가 국가대표팀 경기에 대한 인기가 갈수록 시들어가고 있습니다. 한때는 한국 스포츠에서 최고의 인기를 누렸고 '상암 6만 관중 시대'도 열었지만 이제는 서울 월드컵 경기장에서 A매치가 열릴때 관중이 꽉차지 않는 경우가 비일비재 합니다. 심지어 월드컵 최종예선 같은 중요한 경기까지 말입니다. 이는 한국 축구의 위상이 예전같지 않음을 증명하는 셈입니다. 2002년 한일 월드컵 이후에 닥친 과도기를 견디지 못했던 것이 여론의 냉대로 이어졌습니다. 졸전이야 그렇다 치더라도 예전보다 두드러지게 발전된게 거의 전무하기 때문에(여론의 공통된 느낌으로는) 나중에는 한국 축구에 대한 실망적인 요소들이 사람들의 머릿속에 박힌 것입니다. 특히 지난해 베이징 올림픽 졸전으로 '축구장에 물 채워라'라는 말이 여론에 유행처.. 더보기
한국 월드컵 유치, 변수는 '평창-부산 올림픽' 대한축구협회(KFA)의 갑작스러운 2018-2022년 월드컵 단독 유치 신청이 뜨거운 논란을 낳고 있습니다. 한국 축구의 재도약을 위해서인지, 한국 경제의 발전인지, 월드컵 유치를 신청한 일본을 의식해서인지, 아니면 조중연 신임 회장의 전시행정인지 월드컵 유치 의사를 놓고 여론에서 여러가지 말들이 오가고 있습니다. 월드컵 유치 자체가 기쁜것은 사실입니다. 그러나 대한축구협회는 단 한번도 월드컵 유치 계획을 밝힌적이 없었을 뿐더러 구체적인 준비도 하지 않았습니다. 조중연 회장은 3일 기자회견에서 "월드컵 유치 의사 표명을 정부와 논의할 단계는 아니다. 어제 국제축구연맹(FIFA)에 유치 의사를 전한 뒤 정부 정책과장과 통화했다. 아직 시간적인 여유가 많다"며 정부의 동의가 부족했다는 외부의 비판에 이 같이..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