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남아공 월드컵

남아공 월드컵, '파란색의 저주' 주목하라 월드컵하면 떠오르는 키워드가 '펠레의 저주' 입니다. 펠레가 월드컵을 앞두고 우승 후보로 주목하는 팀들이 기대 이하의 성적에 그쳤고 그 빈도가 잦았기 때문에 월드컵의 빼놓을 수 없는 저주로 꼽히게 됐습니다. 심지어 우승 후보 뿐만 아니라 특정 팀이 좋은 성적을 거둘 것이다, 누군가 월드컵을 빛낸다와 같은 칭찬을 하며 스스로 저주를 키우고 있습니다. 이번 남아공 월드컵에서는 펠레의 저주와 더불어 '파란색의 저주'를 주목할 필요가 있습니다. 파란색 상의를 홈팀 유니폼으로 삼고 있는 프랑스-이탈리아-그리스-일본의 남아공 월드컵 행보가 좋지 않기 때문입니다. 2006년 독일 월드컵에서 프랑스-이탈리아가 결승에 진출하면서 파란색 유니폼이 펄펄 날았다면, 남아공 월드컵에서는 정반대가 될 가능성이 있습니다. 만약 네.. 더보기
한국의 벨라루스전 패배, 무엇이 문제였나? 허정무 감독이 이끄는 한국 축구 대표팀이 '가상의 그리스'로 설정했던 벨라루스에게 패하면서 공수 양면에 걸친 문제점을 드러냈습니다. 하지만 이번 경기를 통해 그리스전 대비책을 세우며 남아공 월드컵 본선을 대비하게 됐습니다. 한국은 30일 저녁 10시(이하 한국시간) 오스트리아 쿠프슈타인 스타디움에서 열린 벨라루스와의 평가전에서 0-1로 패했습니다. 후반 7분 수비 조직력 불안으로 키슬약에게 결승골을 허용하면서 경기를 뒤집지 못했습니다. 패스 위주의 공격 패턴을 통해 상대 수비 뒷 공간을 공략하려 했으나 그 과정이 꾸준하지 못했고, 상대의 탄탄한 수비에 막혀 무기력한 공격을 펼치는 아쉬움이 있었습니다. 남아공 월드컵 16강에 진출하기 위해 더욱 분발해야 한다는 것을 벨라루스전을 통해 깨달았습니다. 벨라루스.. 더보기
한국vs벨라루스, 관전 포인트 6가지는? 허정무 감독이 이끄는 한국 축구 대표팀이 동유럽에 속한 벨라루스와의 평가전을 통해 고지대에서의 경기 감각을 기를 계획입니다. 아울러 이 경기가 끝난 뒤 남아공 월드컵에 출전할 최종 엔트리 23인을 확정지을 예정입니다. 한국은 30일 저녁 10시(이하 한국시간) 오스트리아 쿠프슈타인 스타디움에서 벨라루스와 평가전을 갖습니다. 벨라루스는 국제축구연맹(FIFA) 랭킹 82위에 속한 약체 팀이지만, 한국이 '무적함대' 스페인과의 평가전을 비롯해 그리스-아르헨티나-나이지리아 같은 월드컵 본선 상대국들과 경기를 갖기 때문에 일종의 '스파링 파트너'가 필요한 것이 사실입니다. 고지대에서 열리는 첫번째 경기인 만큼, 실전을 가볍게 치르겠다는 것이 허정무호의 의도입니다. 1. 한국과 상대하는 벨라루스는 '가상의 그리스'.. 더보기
사람들이 축구에 열광하는 12가지 이유 부제 : 축구 신간 도서 를 읽고 지금까지 수 많은 축구 경기를 봤지만 머릿속에서 풀리지 않는 의문이 있었습니다. '도대체 사람들은 축구를 왜 좋아할까?'라고 말입니다. 제가 축구를 좋아하는 이유는 1994년 미국 월드컵에서 한국 선수들이 강팀을 상대로 지지 않으려는 끈기와 투지를 발휘하며 전세계인을 열광시키는 모습에 마음 속 전율을 느꼈기 때문입니다. 하지만 사람들이 축구를 좋아하는 이유는 저와 다를 것입니다. 다른 생각과 다른 풍경 속에서 성장을 했기 때문입니다. 그럼에도 축구는 세계에서 가장 인기있는 스포츠입니다. '지구촌 축구 대제전'으로 꼽히는 월드컵이 그 예입니다. 국제축구연맹(FIFA) 보고서 는 2006년 독일 월드컵을 앞두고 이러한 통계를 내놓았습니다. 경기장을 찾는 관중은 320만 명,.. 더보기
홀딩맨 김정우, 박지성처럼 믿음직한 이유 지금까지의 활약상을 놓고 보면 소리없이 발전했다는 생각이 듭니다. 이제는 대표팀에 없어선 안 될 중원 옵션으로 자리 잡았습니다. 허정무호의 살림꾼으로서 맡은 임무를 성실하게 소화했습니다. 하지만 다른 핵심 자원에 비하면 과소평가 되는 현실이 안타깝습니다. 일부 축구팬들이 그를 조롱하는 것이 매우 불편합니다. 허정무호는 박지성-박주영-이청용-기성용으로 짜인 '양박쌍용'이 핵심 자원입니다. 하지만 양박쌍용이 존재한다고 해서 허정무호가 존재하는 것은 아닙니다. 양박쌍용이 빛나려면 그들이 좋은 활약을 펼칠 수 있도록 도와주고 헌신하는 선수들이 필요하기 때문입니다. 골키퍼와 수비수가 대표적인 예라 할 수 있지만, 미드필더진에서도 그와 같은 역할을 수행할 선수가 필요합니다. 2002년 한일 월드컵 4강 신화를 일군.. 더보기
'위기의' 카카, 월드컵에서 1인자 되찾을까? 브라질의 공격형 미드필더 카카(28, 레알 마드리드. 이하 레알)은 불과 3년 전까지 세계 최고의 선수로 각광 받았습니다. 당시 소속팀이었던 AC밀란의 UEFA 챔피언스리그 우승을 이끌며 발롱도르, 국제축구연맹(FIFA) 올해의 선수상을 동시에 휩쓴 것이죠. 상대 수비를 마음껏 헤집고 다니며 직접 골을 넣거나 동료 선수의 골을 엮어내는 카카의 파괴력은 어느 누구도 범접할 수 없었습니다. 하지만 카카는 그 이후부터 호날두-메시에게 세계 최고의 선수 자리를 넘겨줬고 올해 초 부터 루니가 메시의 새로운 라이벌로 등장하면서 1인자의 이미지와 멀어졌습니다. 레알의 라이벌 클럽인 FC 바르셀로나의 공격형 미드필더 듀오인 사비-이니에스타와의 무게감에서 밀렸고 그것은 지난해 발롱도르 순위가 증명했습니다.(사비 3위, .. 더보기
'타겟맨' 박주영에 대한 걱정스러운 시선 '박 선생' 박주영(25, AS 모나코)은 지난해 한국의 월드컵 7회 연속 본선 진출에 막중한 공헌을 했던 선수였습니다. 2008년 11월 20일 사우디 아라비아 원정, 지난해 6월 9일 아랍에미리트(UAE) 원정에서 귀중한 골을 넣으며 한국의 승리를 견인했죠. 경기 내용에서도 예전의 부진을 떨치며 자신의 하이 클래스였던 2005년의 모습을 되찾는 듯 했습니다. 당시 박주영의 존재감이 반가웠던 이유는 박지성 중심으로 일변되던 허정무호의 공격 패턴이 기존보다 다채로웠기 때문입니다. 박주영이 왼쪽 측면과 최전방을 번갈아가면서 패스 위주의 경기를 펼치면서 박지성에 의존했던 대표팀의 공격 색깔이 바뀌었습니다. 그래서 박지성은 박주영의 존재감속에서 이타적인 활약에 치중하며 공격 부담을 덜었고, 박주영은 미드필더진.. 더보기
남아공 월드컵, 득점왕 꿈꾸는 킬러는? 지구촌의 축구 열기를 뜨겁게 달아 올릴 2010 남아공 월드컵이 불과 20여일 남았습니다. 월드컵은 자국 대표팀의 우승 및 세계 최고의 선수가 되고 싶은 선수들이 축구공으로 각축을 벌이는 지구촌 축구 대제전입니다. 최고가 되기 위해 녹색 그라운드에서 열띤 경쟁을 벌일 선수들의 각축전이 팬들의 흥미를 끕니다. 그 중에서도 세계 축구 역사에 자신의 이름을 새길 수 있는 득점왕이 주목됩니다. 축구는 상대팀보다 골을 많이 넣어야 이기는 스포츠 종목이며 최다 득점을 기록한 선수는 득점왕이라는 최고의 명예를 거머쥡니다. 특히 골잡이들에게 있어 월드컵 득점왕은 반드시 이루고 싶은 꿈과 목표입니다. 과연 남아공 월드컵에서는 어떤 선수가 득점왕에 오르며 '최고의 황금발'이라는 찬사를 들을지 주목됩니다. 월드컵 4강 진출..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