조광래 감독, 그리고 그를 경질한 대한축구협회(KFA) 고위층 모두가 잘못했습니다. 대한축구협회 고위층이 대표팀 감독 경질을 결정하려면 기술위원회가 소집되어야 하는데 그 절차가 생략됐습니다. 황보관 기술위원장은 새로운 기술위원회가 발표된다고 해명했지만 이미 조광래 감독은 사임 언질을 들었습니다. 조광래 감독을 믿기에는 대표팀 성적 부진 및 온갖 잡음이 걸림돌이었죠.
우선, 대한축구협회 고위층의 조광래 감독 경질은 타이밍이 안좋습니다. 내년 2월 29일 쿠웨이트전 대안을 마련하지 못했습니다. 만약 쿠웨이트전에서 패하고, 레바논이 UAE를 제압하면 한국은 브라질 월드컵 아시아 최종예선에 진출하지 못합니다. 새로운 감독이 쿠웨이트전 지휘봉을 잡았으나 한국이 패하면 조광래 감독을 경질했던 효과를 기대할 수 없습니다. 아무리 한국의 홈에서 쿠웨이트전이 열린다고 할지라도 상대팀은 4주 전지훈련을 계획중이라고 합니다. 쿠웨이트가 중동팀이라는 점에서 심판이 상대팀에게 유리한 판정을 내릴 가능성이 없지 않습니다.(수원-알사드 경기를 봐도) 새로운 감독이 쿠웨이트전을 부담스럽게 생각할지 모릅니다. 쿠웨이트전은 조광래 감독에게 기회를 주는 것이 더 나았습니다.
[사진=조광래 감독 (C) 아시아축구연맹(AFC) 공식 홈페이지 메인(the-afc.com)]
한국은 3차 지역예선 B조 1위팀 입니다. 지난달 레바논 원정에서 1:2로 패했다고 할지라도 여전히 선두를 지키고 있습니다. 아무리 경기력이 저조하지만 3차 지역예선이 끝나지 않은 상황에서 감독을 경질하는 것은 아쉬운 결정입니다. 개인적인 생각이지만, 조광래 감독이 쿠웨이트전 승리를 이끈다고 할지라도 경기력이 미흡하면 그때 경질을 검토하는 것이 더 나았습니다. 경기력이 올라오지 않았다는 것은 월드컵 최종예선을 기대하기 어렵다는 뜻이죠.
경질 수순까지 좋지 않았습니다. 대한축구협회 공식 발표 이전에 TV 스포츠뉴스를 통해서 처음으로 전해졌습니다. 수많은 사람들이 놀랄 수 밖에 없었죠. 비공식적인 경질 절차가 있었다고 할지라도 감독 거취가 TV에서 먼저 보도된 경우는 흔치 않습니다. 적어도 기술위원회는 소집되었어야 했습니다. 또 하나 불편한 사실은 스폰서 입김을 이겨내지 못했습니다. 대한축구협회가 많은 예산을 확보하려면 스폰서 수입이 중요합니다. 스폰서 앞에서 감독을 지켜내지 못했던 대한축구협회의 결정이 아쉽기만 합니다. 조광래 감독 경질을 계기로 이제는 스폰서가 감독 거취를 운운하는 명분(?)을 얻었습니다. 대한축구협회의 힘이 약해졌다는 뜻이죠.
조광래 감독 경질을 최초로 보도했던 TV 스포츠뉴스에서는 고트비-최강희-홍명보 감독을 대표팀 후임자 후보로 언급했습니다. 하지만 고트비 감독은 한국 축구를 잘 아는 지도자일 뿐 감독으로서 뚜렷하게 성공했던 결과물이 부족합니다. 이란 대표팀 감독으로서 2011년 아시안컵 8강 탈락에 그쳤고, 대회가 끝난 뒤 일본 J리그 시미즈 S-펄스 감독을 맡았으나 팀은 10위에 머물렀습니다. 감독 경력까지 적은 편이죠. 최강희 감독은 전북과 함께하기를 원하며, 홍명보 감독은 2012년 런던 올림픽에 올인해야 합니다. 베어벡 감독 사례를 봐도 대포팀 겸임 체제는 감독이 힘듭니다.
황보관 기술위원장은 아직 누구에게 대표팀 감독을 제의하지 않았다고 합니다. 고트비-최강희-홍명보 감독은 언론에서 차기 대표팀 감독 후보로 언급된 지도자였을 뿐입니다. 조광래 감독 경질 수순을 놓고 보면 대표팀 차기 사령탑을 희망하는 지도자가 얼마나 될지 의문입니다. 그래도 조광래 감독을 경질하겠다는 의지가 있었다면 쿠웨이트전을 함께 염두하는 것이 옳았습니다.
대한축구협회 고위층 결정이 아쉽지만, 조광래 감독이 대표팀을 순탄하게 운영했다면 이 같은 극단적인 결과가 초래하지는 않았을 겁니다. 기존의 한국 축구 색깔을 바꾸기 위해 패스와 속도를 중요시하는 스페인식 축구를 접목시키는 어려움은 어쩔 수 없었습니다. 하지만 조광래 감독이 변화를 주는 방식은 잘못됐습니다. 한국 축구의 장점이었던 압박-스피드-파워가 새로운 전술에 묻히면서 대표팀 고유의 연속성이 결여되고 말았습니다. 예전과 다른 방식의 축구를 하면서 선수들이 리듬을 익히지 못했고, 그 결과는 일본-레바논전 참패로 이어졌습니다. 스페인식 축구를 지향하더라도 한국 축구의 장점을 지켰어야 했습니다.
유럽파를 선호했던 아쉬움도 있었습니다. 소속팀에서 꾸준한 출전 시간을 확보하지 못한 유럽파를 대표팀 주전으로 기용하면서 경기력 약화를 피하지 못했습니다. 지난 가을에는 손흥민-기성용 차출 논란까지 불거졌죠. 올 시즌 K리그에서 최고의 공격력을 과시했던 이동국을 대표팀에 포함시켰지만 정작 제대로 활용하지 못했습니다. 그 결과는 이동국이 조광래호를 불신하는 상황으로 이어졌죠. 레바논전이 끝난 뒤에는 이청용의 쿠웨이트전 차출 가능성을 언급했지만, 정작 이청용은 내년 3월 복귀가 더 유력한 선수입니다. 그 외 등등 잘못된 점들이 있었으나 지금은 경질 될 타이밍이 아니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