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축구

한국 축구, 일본보다 유럽파가 부족한 까닭

 

이제는 한국 축구팬들이 일본 축구를 아시아 최강으로 인정하는 현실이 됐다. 일본이 지난 4번의 아시안컵에서 3번의 우승을 달성했던 면모를 봐도 아시아 No.1으로 불릴 자격이 있다. 비록 2013 컨페더레이션스컵에서 3전 전패를 당했으나 강팀과 연이은 경기를 치렀던 경험은 2014 브라질 월드컵을 준비하는데 도움이 될 것이다. 아시아 챔피언 자격으로 컨페더레이션스컵에 참가하는 것은 한국 입장에서 부러운 일이다. '한국<일본'으로 뒤바뀐 흐름을 부정하고 싶은 축구팬들도 많을 것이다. 그러나 한국이 아시안컵에서 마지막으로 우승했던 때가 1960년임을 잊어서는 안된다.

 

 

[사진=기성용은 K리그 클래식에서 성공한 것을 발판으로 유럽 리그에서 맹활약 펼쳤다. 한국 축구는 앞으로 기성용 같은 좋은 사례가 많아야 한다. (C) 스완지 시티 공식 홈페이지(swanseacity.net)]

 

일본 축구의 성장은 지금도 멈추지 않고 있다. 대표팀의 유럽파 숫자를 봐도 알 수 있다. 2010년 남아공 월드컵에서는 유럽파가 4명이었으나 현재 14명으로 불어났다. 컨페더레이션스컵 첫 경기 브라질전에서는 선발 11명 중에 9명이 유럽파였다. 반면 한국은 이번 달 브라질 월드컵 아시아 최종예선 엔트리에 포함된 선수 중에 11명이 해외파이며 그 중에 5명이 유럽파다. 나머지 6명 중에서 일본파는 3명, 사우디 아라비아-카타르-중국파는 1명씩 포함됐다. 한국의 해외파들이 유럽과 아시아 각 리그에 골고루 퍼져있다면 일본의 해외파 14명은 모두 유럽파였다. 한국이 일본보다 유럽파가 부족함을 알 수 있다.

 

한국에서는 기성용-구자철-박주영-윤석영 같은 유럽파들이 차출되지 않았음을 감안할 필요가 있다. 하지만 적지 않은 선수들이 일본과 중국, 중동 같은 다른 아시아 리그에서 뛰는 현실이다. 대표팀에 뽑히지 않은 몇몇 수준급 선수도 포함된다. 예전과 비교하면 유럽파들이 늘어난 것은 분명하나 일본에 비하면 아쉬움이 든다. 일본의 주력 선수들은 아시아보다 유럽리그 진출에 눈을 돌렸다. 일례로 일본의 대표급 선수 중에 K리그(현 K리그 클래식)에서 뛰었던 사례는 거의 전무했다. 마에조노 마사키요(전 안양) 토다 가즈유키(전 경남) 다카하라 나오히로(전 수원) 등은 전성기가 지난 시점에서 한국에 진출했다.

 

흔히 한국 선수들의 유럽 진출 및 롱런에 있어서 병역이 걸림돌로 작용한다. 한국이 징병제라면 일본은 모병제를 실시중이다. 그러나 병역만을 이유로 한국이 일본보다 유럽파가 부족한 것은 아니다. 한국의 젊은 선수들이 해외에 진출하는 사례가 많은 것을 봐도 말이다. 문제는 그들중에 꽤 많은 인원이 일본, 중국, 중동 같은 다른 아시아 리그에 진출했다. 일본의 2부리그(J2리그)에서 뛰는 한국인 선수들도 꽤 있다. 일본 축구에서 뛰어난 실력을 자랑하는 영건들이 유럽으로 향하는 것과 분위기가 다르다.

 

실제로 지난해 런던 올림픽 엔트리에 포함되었던 18명 중에 6명이 일본-중국-중동파였다.(김보경은 런던 올림픽 당시 카디프 시티 소속이었으나 대회 직전까지 일본파였다.) 유럽파(4명)보다 더 많았다. 런던 올림픽이 끝난 뒤에는 국내파 8명 중에 4명이 일본과 중동으로 진출하거나 임대로 활약했다. 이러한 사정이 저마다 달랐겠지만 결과적으로 젊은 선수들의 다른 아시아 리그 진출이 익숙해진 현실이 됐다. 런던 올림픽 세대 중에서 현재 유럽에서 뛰는 선수는 6명, 다른 아시아 리그에서 활약중인 선수는 8명이다. 그 중에 5명이 일본팀에 소속됐다. 그리 좋은 현상은 아니다.

 

일본의 J리그는 한국의 K리그 클래식보다 수준이 높지 않다. 오히려 K리그 클래식이 J리그를 앞선다. AFC 챔피언스리그를 봐도 K리그 클래식이 아시아 No.1 이었으며 J리그는 고전을 면치 못했다. 이러한 상황 속에서도 J리그와 J2리그에 진출하는 한국의 젊은 선수들이 꽤 있다. 경기력 관점에서 J리그와 J2리그 진출은 큰 도움이 되지 않는다. 중국과 중동리그 진출 또한 마찬가지다. 경기력에서는 아시아 리그 중에 K리그 클래식에서 배울 것이 많다.

 

그럼에도 일본 진출이 만연한 분위기다. "일본이 돈을 많이 준다"는 오래된 인식 때문일 가능성이 높다. 그러나 젊은 선수가 J리그와 J2리그에 도전했다고 모두가 고액 연봉자가 되는 것은 아니다. 일본의 높은 물가와 J리그 클럽들이 선수 인건비에 많은 비중을 두지 않는 특징도 감안해야 한다. 하지만 '일본=돈'이라는 고정관념이 여전히 강하다. K리그 클래식이 급속하게 발전하지 않는 이상 이러한 인식은 앞으로도 계속 될 것 같다. 중국과 중동으로 진출하는 것도 돈 때문이다.

 

최근에는 J리그를 거쳐 유럽으로 진출하는 선수들이 늘었다. 박주호와 김보경이 대표적인 예다. 이렇게 생각하는 사람이 있을지 모르겠지만, 일본 진출을 옹호하는 입장에서는 'J리그에서 잘하면 언젠가 박지성처럼 유럽에 갈 수 있다'는 논리를 제기할 수 있다. 그러나 K리그 클래식에서 경기력을 검증받고 유럽에 진출한 선수들이 많았다. 지난 4년을 기준으로 놓고 볼 때 이들 중에 상당수가 유럽에서 두각을 떨쳤다. 이청용, 기성용, 구자철, 지동원이 대표적이다. 네 명은 대표팀에 없어서는 안 될 중요한 전력이다.

 

젊은 선수들의 다른 아시아 리그 진출을 제도적으로 막는 것은 좋은 현상이 아니다. 한국인은 직업 선택의 자유가 있으며 축구 선수는 자신이 원하는 리그와 팀에 입단하고 싶은 마음이 있다. 결과적으로 2000년대 중반 K리그 드래프트 도입이 한국 축구 발전에 안좋은 영향을 끼쳤다. 젊은 선수 입장에서 자신이 희망하는 국내 리그팀에 입단하기 힘든 현실에 직면했다. 이렇다보니 영건들의 일본 진출이 활발했다. 현재 K리그 드래프트는 점진적 폐지 절차를 밟고 있으며 신인 선수 연봉도 이전보다 향상됐다. 만약 K리그 드래프트가 없었다면 K리그 클래식을 빛내는 영건들이 지금보다 즐비했을 것이며 한국의 유럽파도 더 많았을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