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축구

한국의 아시안컵, 3백과 4백 갈림길에 서다

 

조광래 감독은 지난 11일 A매치 나이지리아전 2-1 승리를 통해 성공적인 대표팀 사령탑 데뷔전을 치렀습니다. 빠른 공수 전환과 세밀하고 적극적인 패스 플레이, 윙백을 중심으로 활동 폭을 넓게 움직이는 기동력, 상대 수비 뒷 공간을 단번에 무너뜨리는 칼날같은 침투패스를 통해 '기술 축구'로 무장했던 한국 축구의 긍정적인 변화를 연출했습니다. 특히 짧고 빠른 패스로 공격진의 유기성을 강화시킨 것은 이전의 한국 축구와는 다른 면모를 보였습니다.

하지만 수비는 4백에서 3백으로 바뀌었을 뿐 여전히 완성되지 못했습니다. 전반 26분 나이지리아의 프리킥 상황에서 피터 오뎀윈지에게 헤딩골 실점을 허용 과정에서 순간적인 집중력 저하로 수비 위치를 놓쳤기 때문입니다. 조광래 감독은 경기 전 중앙 수비수가 공격시에는 수비형 미드필더 역할을 담당할 것이라며 '변형 3백'을 쓸 것이라고 공언했지만 끝내 이루어지지 못했습니다. 소집시간이 이틀에 불과했기 때문에 어쩔 수 없이 변형 3백을 포기했죠. 문제는 내년 1월 아시안컵 우승을 위해 앞으로 3백을 계속 유지해야할지 고민이라는 점입니다. 한국의 아시아 제패는 수비 조직력 완성 여부와 달려있다고 봐도 과언이 아닙니다.

한국의 3백 전환, 하지만 아시안컵에서 위험하다

한국 대표팀은 고질적으로 수비가 문제 있습니다. 대표팀 선수들이 공격수와 미드필더 위주로 축구를 접하다보니 축구 선진국들에 비해 대형 센터백 발굴이 미약하며 전문 센터백 육성에 어려움을 겪었습니다. 그리고 한국 수비수들은 순간적인 집중력 저하로 결정적인 실점 위기를 허용하는 경향이 짙습니다. 공격 상황에서 마음이 풀어지다보니 상대 공격 옵션의 빠른 역습에 흔들리는 경우가 비일비재 했습니다. 그래서 나이지리아전 한 경기 만으로 수비력을 검증하는 것은 무리입니다. 수비수들이 발을 맞출 시간이 짧았고 3백에 적응해야 하기 때문입니다.

조광래 감독이 나이지리아전에서 3백을 구사한 것은 수비 조직력 향상 및 공격력 강화에 있었습니다. 한국 수비수들이 아드보카트-베어벡-허정무 체제에서 4백을 구사했지만 어려서부터 3백에 익숙하며, 조광래 감독 또한 3백을 즐겨 구사하는 지도자입니다. 그리고 중원에 전문적인 수비형 미드필더가 없었기 때문에 중앙 수비수를 3백과 2선 사이에 포진시켜 볼 배급의 1차 역할을 맡기는 '변형 3백'을 염두했습니다. 중앙 미드필더들의 체력적인 부담을 막기 위해 중앙 수비수의 위치를 끌어올려 공격력에 대한 효율성을 키우겠다는 계산이 있었습니다.

문제는 3백도 4백과 마찬가지로 구조적인 단점이 있습니다. 3백은 좌우 윙백이 수비에 가담하면 5백이 되기 때문에 미드필더진과 공격진이 상대 압박에 의해 수적 열세에 빠질 수 있습니다. 좌우 윙백이 빠른 공수 전환에 의해 미드필더진으로 올라가면 수적 열세 문제를 해결할 수 있지만 체력 소모가 심합니다. 만약 좌우 윙백이 미드필더진에 그대로 고정되면 3백의 좌우 수비수들이 측면 지역을 넓게 커버해야 하는 활동적인 부담이 있습니다. 4백에서는 후방 라인을 서로 나누어서 담당할 수 있지만 3백으로 전환하면 1명의 수비수를 줄여야 하는 단점이 있죠.

3백은 상대의 빠른 공격에 흔들리기 쉽습니다. 미드필더진이 철저히 압박하면 이야기가 다르겠지만, 문제는 미드필더들이 공격 역할까지 도맡고 있기 때문에 매 상황마다 타이트한 2선 압박으로 상대를 몰아붙이는 것은 어렵습니다. 윙백 같은 경우에도 수비 라인부터 상대 골문까지 깊게 파고들어야 하기 때문에 활동적인 측면에서 부담이 따릅니다. 미드필더진에 넓은 활동 폭, 민첩한 움직임, 강력한 체력이 요구될 수 밖에 없는 이유죠. 허리가 붕괴되면 상대 공격 옵션에게 여러차례 결정적인 실점 위기를 허용하기 쉽습니다. 조광래 감독은 나이지리아전을 통해 점유율 강화로 이겨내겠다는 계산을 세웠을지 모르지만, 문제는 상대의 빠른 역습 한 방에 취약합니다.

그래서 대부분의 유럽 클럽들은 3백이 아닌 4백을 선호하며 독일-남아공 월드컵에서는 3백을 구사한 팀들이 몇 되지 않았습니다. 특히 남아공 월드컵에서는 칠레가 3백, 북한이 5백을 활용했고 우루과이가 프랑스와의 본선 1차전에서 3백을 썼을 뿐 나머지 경기에서 4백을 썼습니다. 토너먼트 대회는 엄연히 단기전이기 때문에 공격보다는 수비가 더 중요하며 후방쪽에 대한 밸런스를 강화해야 합니다. 불필요한 체력 소모 또한 막아야하기 때문이죠. 한 번의 실점이 단기전 패배로 이어질 수 있는 단점이 있기 때문에 '무결점 수비'가 강조되었고 3백이 선호 받지 못했습니다.

그런데 조광래호는 내년 1월 아시안컵에서 3백의 취약점을 안고 대회에 임해야 합니다. 나이지리아전 경기 하루 전 기자회견에서 4백 도입을 검토하겠다고 밝힌적이 있었지만, 아직 변형 3백을 구사하지 못했기 때문에 9월 이란전과 10월 일본전에서 실험할 것이 분명하며 그 기세를 몰아 아시안컵에 출전할 가능성이 큽니다. 그런데 1월은 K리그와 J리그 선수들의 '체력이 올라와야 할 시기' 입니다. 체력이라는 것은 적절한 일정 간격에 의해 끊임없이 경기를 치르면서 90분 동안 지치지 않는 힘을 길러야 하기 때문에 비시즌에서의 몸 상태와 차이가 있습니다. 문제는 1월이 K리그와 J리그가 비시즌이라는 점이며 12월에 휴식기를 보내야 합니다.

한국 대표팀은 지금까지 박지성-박주영-이청용-기성용 같은 '양박쌍용'에 대한 의존도가 컸습니다. 유럽에서 뛰고 있는 4명의 존재 여부에 따라 경기력이 엇갈렸습니다. 하지만 4명이 정상적으로 차출될지는 의문입니다. 유럽 클럽 입장에서는 시즌 중에 주축 선수가 다른 대회에 참여하는 것에 난색을 표시하며 아프리카 네이션스컵에서는 부상을 이유로 대표팀 차출을 반대하는 경향이 있습니다. 그런데 아시안컵은 그들 입장에서 네이션스컵과 동등하게 여기는 대회일지 의문이라는 점입니다. 더욱이 박주영은 오는 11월 광저우 아시안게임 차출 가능성이 크기 때문에 소속 구단이 아시안컵까지 출전을 허락할지 알 수 없습니다. 만약 4명 모두 아시안컵에 출전하더라도 그 여파 때문에 컨디션 저하 및 팀 내 입지에 대해서 신경쓰지 않을 수 없습니다.

결국 조광래 감독은 K리그와 J리그 선수들을 중심으로 아시안컵에 임할 수 밖에 없습니다. 12월 휴식기를 보낸 선수들이 즐비하기 때문에 아시안컵에서 체력이 얼마만큼 올라올지 의문입니다. 그런 상황에서 3백을 구사하면 토너먼트 대회에서 힘든 일정을 견뎌야 합니다. 더욱이 한국과 상대하는 팀들은 선 수비-후 역습 카드를 꺼낼 가능성이 큽니다. 한국이 그동안 아시아 무대에서 공격적인 컬러를 나타냈고 조광래호에서 더욱 뚜렷해졌기 때문에 상대 입장에서는 역습으로 맞설 것이 분명합니다. 2007년 아시안컵 바레인전에서 상대의 역습에 고전하며 패했던 것을 상대가 이용할 것으로 보입니다. 그런데 3백은 역습에 흔들리기 쉬운 단점이 있습니다. 한국의 3백 전환이 아시안컵에서 독으로 작용할 여지가 분명합니다.

어쩌면 변형 3백이 해답이 될 수 있습니다. 중앙 수비수가 수비형 미드필더 위치를 맡고 좌우 윙백이 수비진으로 내려가 순간적인 4백 전환이 이루어질 수 있기 때문입니다. 하지만 변형 3백의 단점은 중앙 수비수의 체력 소모가 클 수 밖에 없다는 점입니다. 조광래 감독 입장에서는 자신이 즐겨 구사하는 3백이 대표팀에 정착되기를 바라고 있겠지만 아시안컵에서는 한국의 약점 요소를 줄이고 강점을 키울 수 있는 지혜가 필요합니다. 3백과 4백 갈림길에 놓인 한국이 과연 아시안컵에서 체력적인 어려움 및 상대의 역습을 이겨내고 우승의 달콤한 열매를 맺을지 주목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