젠슨황 국적 재산, 엔비디아 CEO 주목받는 이유
-10월 30일 이재용 삼성전자 회장, 정의선 현대차 회장과 삼성동에서 치킨 파티로 화제
-엔비디아, 한국 정부 및 4개 기업(삼성전자, SK그룹, 현대차, 네이버)에 최신 GPU 26만 장 공급 예정
젠슨황 국적 향한 사람들의 관심이 높아지는 중입니다. 단순한 한국 방문 때문만은 아닙니다. 3가지 때문입니다. 첫째는 미국 시가총액 1위 기업 엔비디아 최고경영자(CEO)의 한국 방한, 둘째는 온오프라인에서 커다란 화제를 몰고 왔던 이재용 삼성전자 회장 및 정의선 현대차 회장과 함께 삼성동 치킨 파티 및 지포스 게이밍 페스티벌 서울 행사 참석이 있었습니다. 그리고 셋째는 엔비디아가 한국 정부 및 4개 기업에 최신 그래픽처리장치(GPU) 26만 장 공급한다는 소식이 전해졌습니다. 이것이 한국 경제에 중요한 이유는 어디서든 구하기 힘든 최신형 GPU를 한국 정부 및 기업들이 확보한다는 점입니다.
*이 포스팅은 투자 권유 목적이 아니며, 투자에 따른 책임은 투자하시는 분에게 있습니다.

젠슨황 엔비디아 CEO / 사진 (C) NVIDIA Instagram
현재 미국 시가총액 1위 기업 CEO는 한국인들에게 '황사장'이라는 수식어로 유명합니다. 황씨 성을 쓰는 CEO인 이유도 있지만, 미국의 유명 기업 CEO로 활동중인 동양계 출신이라 한국인들이 바라보는 시선이 특별했을 것입니다. 젠슨황 국적 관련하여 성이 황씨라서 '혹시 한국인일까?'라고 생각하는 분이 있을지 모르겠지만, 실제 영어식 성은 'Huang'으로서 한국인 황씨 영어명 'Hwang'과는 표기가 다릅니다. 중화권에서는 황(Huang)씨가 흔한 성씨 중에 하나라고 합니다. 중국 성씨 인구 순위 8위가 황(Huang)씨라고 합니다. 다만, 젠슨황은 중국인 혹은 중국계 미국인이 아닙니다.
젠슨황, 미국 시가총액 1위 기업 엔비디아 CEO
젠슨황 국적 미국입니다. 정확히는 대만계 미국인입니다. 1963년 대만 타이난에서 출생했던 그는 9세 때 가족과 함께 미국으로 이민을 떠났습니다. 오리건주립대 전기공학 학사 및 스탠퍼드대 전기공학 석사를 거쳐 AMD 등에서 경력을 쌓았습니다. 그러다가 1993년 30세가 되던 해에 다른 2명의 인물들과 함께 엔비디아 공동 창업했습니다. 그 당시 미국 레스토랑 프랜차이즈 데니스 매장 내 테이블을 사실상 회사 사무실처럼 사용했던 창업 일화는 최근 엔비디아 성공 스토리를 통해 잘 알려졌습니다. 30여 년이 흐른 현재 엔비디아는 애플과 마이크로소프트를 제치고 미국 시가총액 1위 기업으로 등극했습니다. 2020년대 가장 성공했던 글로벌 기업 No.1은 엔비디아입니다.
엔비디아, 시가총액 5조 달러 돌파...한국 1년 예산의 10배 이상
젠슨황 재산 주목하는 분이 많은 이유가 이 때문입니다. 그가 이끄는 엔비디아가 지난 10월 29일 시가총액 5조 달러(약 7,100억 원) 넘었습니다. 한국 1년 예산이 약 657조 원(2024년 기준)임을 놓고 보면 어마어마한 금액입니다. 지난 7월 9일 4조 달러 최초로 넘었을 때 세상을 놀라게 했는데, 3개월 만에 5조 달러 터치했습니다. 엔비디아 주가 2020년대 들면서 올랐음을 실감합니다. 그러면서 엔비디아 CEO 젠슨황 재산 액수가 빠르게 높아졌을 것으로 추정됩니다.
미국의 금융 미디어 더 스트릿에서는 지난 10월 8일 젠슨황 재산 관련하여 순자산 약 1,700억 달러(약 242조 원)로 추산된다고 전했습니다. 2023년 말 재산의 두 배 이상이라고 합니다. 2025년 3월 기준으로 엔비디아 주식 922,922,938주 직접 소유했던 영향이 큽니다. 해당 기업의 현재 주식은 그때보다 더 많이 올랐습니다. 10월 31일 현재 젠슨황 재산 그때보다 더 높을 가능성이 큽니다. 참고로 미국 미디어를 통해 알려진 약 1,700억 달러는 한국 1년 예산의 약 3분의 1 정도 되는 규모입니다.

[사진 = 엔비디아 주가 지난 10월 29일 212.19달러 기록하면서 시가총액 5조 달러 최초로 달성했던 미국 기업이 됐습니다. 3개월 전 4조 달러 넘었던 것을 떠올리면 주가 상승이 엄청납니다. 젠슨황 재산 속도가 빠르게 증가했습니다. 해당 기업의 주가는 10월 31일 현재 202.89달러이며 시가총액 4,940조 달러입니다. 만약 200달러대를 지지할 경우 210달러대 재진입 가능성 높습니다. 현지에서는 목표주가 220달러대 나오고 있으며 HSBC에서는 320달러 제시했던 적이 있습니다. 전 세계에서 엔비디아 AI 칩을 원하고 있으며, 한국 정부 및 4개 기업(삼성전자, SK그룹, 현대차, 네이버)도 포함됩니다. (C) 아이폰 주식 앱]
3. 젠슨황 방한으로 화제가 된 이건희 선대회장과의 인연
젠슨황 CEO는 지난 30일 삼성동 코엑스에서 펼쳐진 지포스 게이머 페스티벌에서 이재용 삼성전자 회장, 정의선 현대차 회장과 함께 무대에 등장했습니다. 여러가지 장면들이 화제를 모았던 가운데, 젠슨황 회장이 1996년 이건희 삼성그룹 선대회장(이재용 회장의 아버지)에게 직접 편지를 받았던 일화를 소개했습니다. 모든 한국 시민이 브로드밴드 인터넷 연결하고, 비디오 게임으로 세상을 변화시키고, 그 게임을 통해 올림픽을 만들고 싶으며, 그것을 위해 엔비디아의 지원을 받고 싶다는 내용의 편지였다고 합니다. 그 편지가 젠슨황 CEO의 한국 방문으로 이어졌고 비전이 실현됐다고 전했습니다. 또한 젠슨황 CEO를 알아본 이건희 선대회장의 선구안이 놀랍습니다. 그것도 엔비디아가 세상에 잘 알려지지 않았던 1996년에 말입니다.
4. 2025년 젠슨황 방한, 한국 AI 발전의 터닝 포인트 될까?
2025년 10월 31일 엔비디아는 한국 정부 및 4개 기업(삼성전자, SK그룹, 현대차, 네이버)에 총 26만 장 GPU를 공급한다고고 밝혔습니다. 이로써 한국은 엔비디아로부터 최신 GPU 블랙웰을 공급 받아 AI 발전에 박차를 가할 전망입니다. 여기서 주목할 점은 엔비디아가 한국 정부 및 4개 기업에 최신 GPU 우선 할당되도록 지원할 예정이라는 점입니다. GPU는 지구촌에서 공급이 상당히 모자를 정도라고 합니다. 만약 한국이 최신 GPU를 많이 공급받게 된다면 AI 분야 발전이 탄력 받을 전망입니다. 엔비디아 입장에서도 GPU 판매량 증가를 통한 매출액 향상, 주가 상승을 기대할 수 있는 호재입니다. 엔비디아와 한국이 서로 윈윈하는 셈이 됩니다.


[사진 = 10월 31일 국내 주식은 엔비디아 관련된 종목들이 펄펄 날았습니다. 토스 실시간 차트 인기 순위 1~4위가 젠슨황 CEO 방한과 연관된 기업들입니다. 삼성전자, SK하이닉스, 현대차, 레인보우로보틱스(최대주주 삼성전자) 향한 사람들의 관심이 높았습니다. 특히 24% 올랐던 레인보우로보틱스는 젠슨황 CEO가 지난 30일 로보틱스 관련하여 좋은 소식이 있을 것이라고 전했는데, 투자자들 사이에서는 삼성전자와 연관된 레인보우로보틱스를 주목했습니다. 또한 네이버도 이날 주가 4.6% 올랐습니다. 이렇게 엔비디아 동맹이 구축됐습니다. (C) 토스 앱]


[사진 = 삼성전자 주가 10만 7천 원대에 올라섰습니다. 이제 11만 전자 진입을 앞두고 있습니다. 중요 과제였던 고대역폭메모리(HBM) 엔비디아 공급 드디어 확정됐습니다. 삼성전자는 엔비디아에 HBM3E, HBM4, GDDR7, SOCAMM2 등을 공급할 예정입니다. 이제 엔비디아 GPU에 삼성전자 HBM 들어간 모습을 기대해도 될 듯합니다. 또한 삼성전자는 휴머노이드 로봇 분야에서 엔비디아 RTX 프로 6000 블랙웰 서버 에디션 플랫폼을 활용할 예정입니다. 삼성전자 계열사 중에 레인보우로보틱스라는 휴머노이드 로봇 회사가 있습니다. 이번 소식으로 한국 로봇 산업 발전을 기대할 수 있게 됐습니다. (C) 토스 앱]


[사진 = 엔비디아 주가 일봉 및 주봉 기준으로 오름세 두드러집니다. 이제는 200달러를 넘으면서 새로운 시대를 맞이했습니다. 젠슨황 재산 그동안 많이 늘었는데, 앞으로 계속 늘어날 가능성이 있습니다. AI 시대가 도래한지 얼마되지 않았기 때문입니다. 앞으로 전 세계 수많은 곳에서 엔비디아 제품을 원할 것입니다. 또한 엔비디아 주가 상으로는 일봉, 주봉 기준으로 N자형 상승 형태로 올라갈 가능성이 있습니다.(이전의 딥시크, 4월 관세 사태 같은 커다란 악재가 없다면) 어쩌면 HSBC에서 이 종목 목표주가 320달러 제시했던 것도 아마 이러한 부분이 아닐까 싶습니다. (C) 토스 앱]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