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시사 & 경제

청년내일저축계좌 2025 신청기간 및 조건 살펴보니?

청년내일저축계좌 2025 신청기간 및 조건 살펴보니?

 

-근로 중인 저소득층 청년 대상의 자산 형성 지원사업, 정부지원금 받을 수 있는 프로그램

-청년이 3년 360만 원 저축 시 정부의 추가 적립금 더해서 최대 1,440만 원 및 이자 받을 수 있는 특징

 

 

청년내일저축계좌 2025 신청기간 및 얼마까지 입금할 수 있는지 등등 궁금하신 분들이 계실 겁니다. 지원 받을 수 있는 분이 많기 때문입니다. 만 19세부터 만 34세까지 입니다. 그런데 만 15세 ~ 만 18세, 만 35세 ~ 만 39세 속하는 분들 중에도 지원 자격 해당되는 분들이 있습니다. 아울러 해당 프로그램은 청년도약계좌와는 다른 상품입니다. 청년도약계좌가 청년의 자산 형성을 목적으로 하는 특징이 있다면 청년내일저축계좌 일하는 저소득층 청년의 자산 형성을 위한 차이점이 있으며 특정한 소득 기준 충족해야 합니다. 두 상품 중복 신청 가능하나, 이 포스팅에서 주로 언급되는 해당 상품은 근로 및 사업을 하는 저소득층 청년에 초점을 두었습니다.

 

 

[사진 = AI 생성]

 

청년내일저축계좌 조건 등을 알아보는 분이라면 자신의 자산을 늘리며 앞으로의 밝은 미래를 꿈꾸는 청년분이라 생각합니다. 직장에서 일하며 월급을 받더라도 고물가 시대를 버텨내기가 쉽지 않은 현실입니다. 여기에 전세사기 급증으로 월세를 알아보는 사람들의 수요가 늘었으나 오히려 월세 인상 부담이 커졌습니다. 청년분들 중에도 월세 거주하시는 분이 많을 텐데 주거비 부담이 만만치 않을 겁니다. 그런 점에서 청년의 자산 형성을 목적으로 정부지원금 지급되는 이 프로그램을 주목하시면 좋습니다. 얼마 전 가입인원 180만 명 돌파했던 청년도약계좌와는 다른 프로그램이며, 해당 계좌와 중복 신청 가능합니다. 다만, 특정한 조건이 있습니다.

 

 

청년내일저축계좌 조건 : 소득 기준에 따라 두 가지 유형

 

(1) 가구소득 기준 중위소득 100% 이하

- 나이 : 신청 당시 만 19세 이상 ~ 만 34세 이하

- 근로 및 사업소득 : 현재 근로활동 중, 해당 소득 1개월 50만 원 초과 ~ 250만 원 이하

 

(2) 기초생활수급자, 차상위계층, 가구소득 기준 중위소득 50% 이하

- 나이 : 만 15세 이상 ~ 만 39세 이하

- 근로 및 사업소득 : 1개월 10만 원 이상 발생

 

(1)(2) 해당되는 가구 재산 기준

-대도시 : 3억 5,000만 원 이하

-중소도시 : 2억 원 이하

-농어촌 : 1억 7천만 원 이하

 

*2025년 기준 중위소득 100%, 50% 금액

1인 가구 : 2,392,013원 / 1,196,007원

2인 가구 : 3,932,658원 / 1,966,329원

3인 가구 : 5,025,353원 / 2,512,677원

4인 가구 : 6,097,773원 / 3,048,887원

5인 가구 : 7,108,192원 / 3,554,096원

6인 가구 : 8,064,805원 / 4,032,403원

7인 가구 : 8,988,428원 / 4,494,214원

8인 이상 : 9,912,051원 + (1인 증가 시 923,623원 추가) / 4,956.025.5원 + (1인 증가 시 461,811.5원 추가)

 

청년내일저축계좌 조건 관련하여, 만약 1인 가구에 속하는 만 30세 청년이 중위소득 100% 해당된다면 가구 소득 2,392,013원 이하여야 합니다. 만 15세 ~ 만 18세, 만 35세 ~ 만 39세 속하는 분은 중위소득 50% 충족해야 합니다. 1인 가구에 속하는 분이라면 가구 소득 1,196,007원 이하여야 하는 조건입니다. 참고로 두 유형 모두 근로 및 사업 활동을 하는 분이여야 합니다. 다시 말하면, 일을 하는 청년이 해당 프로그램 지원 가능하다고 보시면 됩니다.

 



2025 청년내일저축계좌 지원 금액

 

-기준 중위소득 100% 이하 : 본인 저축액 월 10만 원(최대 50만 원까지) + 정부지원금 월 10만 원

-기준 중위소득 50% 이하 : 본인 저축액 월 10만 원(최대 50만 원까지) + 정부지원금 월 30만 원

 

이 프로그램의 가입 기간은 3년입니다. 청년내일저축계좌 3년 만기 채우고 해지 시 최소 금액 기준 원금 360만 원 됩니다. 여기에 정부지원금을 더하면 기준 중위소득 100% 이하에 속하는 분은 최대 720만 원, 50% 이하에 속하는 분은 최대 1,440만 원까지 지원 받을 수 있습니다. 물론 3년 동안 통장 유지해야하는 조건이 있으며, 본인 저축액 최대 50만 원까지 늘릴 수 있습니다. 정부지원금은 중위소득에 따라 차등 지급 됩니다.

 

 

청년내일저축계좌 조건 또 다른 사항은?

 

-3년 동안 통장 유지

-3년 동안 근로 및 사업 활동 지속

-가입 기간 동안에는 1개월 10만 원 이상 저축해야 함

-총 10시간 자립역량교육 이수

-자금사용계획서 제출

 

만약 적립 중지하고 싶다면 그 조건은 어떻게 될까?

-병역의 의무, 임신 및 출산에 따른 퇴직자, 육아휴직 사유에 한하여 적립중지(2년) 신청 가능합니다. 그럴 경우 통장가입기간 5년이 됩니다.(1회에 한함) 특히 군입대 앞두신 분이라면 반드시 적립중지(2년) 신청하셔야 환수해지되는 상황을 피할 수 있습니다. 이에 따른 증빙자료 첨부도 해야 합니다.

-실직, 본인 및 부양가족 질병 및 사고 등의 사유가 있다면 적립중지(6개월) 신청 가능합니다.

 

청년내일저축계좌 2025 신청기간 오는 5월 2일 금요일부터 5월 21일 수요일까지 입니다.(복지로 기준, 일부 지자체는 5월 16일 금요일까지) 온라인에서는 복지로 홈페이지, 오프라인에서는 읍 / 면 / 동 주민센터 통해서 지원하시면 됩니다. 꼭 주소지가 아니어도 동일한 시군구내 모든 주민센터에서 신청 가능합니다. 그 이후 시군구에서 대상자 여부를 결정한 뒤, 한국자활복지개발원에서 대상자에게 서비스 지급하는 방식으로 운영됩니다.

 

 

[사진 = 아직 청년내일저축계좌 2025 신청기간 아직 시작되지 않았음에도, 현재 복지로 앱에서 검색어 상위권에 포함됐습니다. 그만큼 이 프로그램에 관심 갖는 분이 많음을 알 수 있습니다. 신청 시기가 점점 다가올 수록 관련 사항을 알고 싶어하는 분이 더 늘어날 것으로 보이며 5월 2일에 신청하려는 분이 많을 것으로 예상됩니다. (C) 복지로 앱]

 

 

[사진 = 복지로 앱에서 청년내일저축계좌 신청 진행하려면 이러한 과정 거치면 됩니다. (C) 복지로 앱]

 

 

[사진 = 정책 대상에 따라 추가지원금 지급되는 경우도 있습니다. 예를 들어 생계급여 수급 가구 및 중위소득 50% 이하 청년은 근로소득공제금 지원 대상이 됩니다. 자신의 저축액 10만 원당 1개월 10만 원 추가로 받을 수 있습니다. 물론 근로 및 사업 소득 1개월 10만 원 넘어야 합니다. (C) 경기도 광주시 공식 홈페이지]

 

 

[사진 = 청년내일저축계좌 2025 신청 시 제출해야 할 서류 이렇습니다. 필수서류 중에서 공통은 8개입니다. 자신의 신분을 확인할 수 있는 신분증부터 시작해서 가족관계증명서, 소득 및 재산신고서 등이 있습니다. 해당 이미지의 공통서류 (1) ~ (6)은 복지로에서 직접 입력해야 하는 것으로 파악됩니다. 소득증빙은 근로소득자 및 사업소득자마다 다릅니다. 예를 들어 근로소득자는 재직증명서를 재직처에서 발급 받으셔야 합니다. 일용근로 형태로 일하시는 분이라면 근로복지공단에서 관련 서류 발급 받으셔야 합니다. 재산조사 및 가구 특성에 따른 서류가 다른 경우도 있습니다. (C) 복지로 홈페이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