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OXS 주가, 미국 관세 수혜주 및 특징은?
-미국 반도체 3배 인버스 ETF, SOXL과 정반대 성격의 종목
-최근 트럼프 관세 이슈로 오름세 돋보이는 종목, 하지만 장기투자는 금물!
SOXS 주가 주목하는 분이 많을 것으로 보입니다. 미국 현지 시간으로 4월 2일 도널드 트럼프 대통령의 상호관세 발표 이후로 국내외 주요 국가의 증시 및 가상화폐 폭락 거듭중입니다. 특히 4월 7일 월요일에는 국내 코스피 지수 2,300선으로 하락하면서 최근 1년 내 최저점 찍었습니다.(-5.57% 하락한 2,328.20 마감) 이웃나라 일본 니케이 225 지수 -7.83%(31,136.58) 기록했습니다. 두 나라의 주가 하락 원인은 지난 4일 금요일 미국주식 폭락과 연관 있습니다. 시가총액 1위 애플 200달러 미만으로 주저 앉을 정도였습니다.(188.38달러) 이러한 상황과 정반대로 오름세를 나타내는 어떤 ETF 종목이 하나 있습니다.
*이 글은 SOXL과 더불어 해당 종목 권유 의도 없습니다. 두 ETF 모두 투자 여부 신중하게 판단하셔야 하며, 투자에 따른 책임은 투자하시는 분에게 있습니다.
SOXS 주가 미국 반도체 3배 인버스 ETF 종목입니다. 여기서 인버스(Inverse) 뜻 '정반대'입니다. 미국 반도체 섹터 주가 하락 시 3배의 수익 추구하는 ETF 입니다. 반대로 해당 섹터 주가 상승 시 3배 만큼의 커다란 손실을 볼 수 있습니다. 이 종목과 반대되는 성격의 SOXL과는 서로 다른 포지션에 있다고 보시면 됩니다. 현재 시점에서 한국의 미국주식 투자자들이 SOXL ETF 향한 관심이 높습니다. 토스 해외주식 인기 상위권 종목입니다. '속쓸'이라는 별칭 답게 이 종목 투자자들의 속을 쓰리게 했습니다. 반면 다른 포지션의 ETF는 오름세입니다. 한 종목은 반도체 섹터 상승, 다른 종목은 하락일 때 수익률 높아지는 종목이라 함께 오르거나 내려가는 것은 불가능합니다.
SOXS 주가 특징 살펴보기
-Direxion Daily Semiconductor Bear 3X Shares
-운용사 : 디렉시온(Direxion)
-상장일 : 2010년 3월 11일
-운용보수 : 연 1.03%
-미국 필라델피아 반도체 지수 수익률 -3배 추종 레버리지 인버스 ETF
(필라델피아 반도체 지수 하락 시 3배 상승, 반대로 지수 상승 시 3배 하락하는 구조 / SOXL ETF와 정반대)
-레버리지 종목이라 변동성 높은 편. 장기투자 부적합한 이유.
SOXS 배당금
-2023~2024년 1년에 4회 지급, 2025년 1회 지급
+2023년 : 1.8792달러 / 1.1927달러 / 1.5949달러 / 0.6967달러
+2024년 : 0.4133달러 / 0.2748달러 / 0.2343달러 / 0.3020달러
+2025년 4월 1일 지급 : 0.1846달러(배당락일은 3월 25일)
-2025년 1분기 0.1846달러는 코로나 이후 가장 낮은 금액
-점점 갈수록 배당금 줄어드는 편
-하락과 연관된 -3배 인버스 특성상 장기투자로 들어가기 좋은 종목은 아님. 배당금 기대하는 분은 흔치 않을 것으로 예상(개인적 생각)
[사진 (C) 맥북 주식 앱]
SOXS 주가 최근 1주일 동안의 흐름입니다. 같은 기간의 SOXL과 철저하게 다릅니다. SOXL 하락 이유 주요 구성종목인 엔비디아, 브로드컴 등의 폭락이 컸습니다. 현지 시간 기준 4월 4일 8.73달러로 주저 앉으며 2022년 10월 이후 10달러 미만으로 내려갔습니다. 이 종목과 반대되는 성격의 SOXS 지난 1주일 사이에 14.08달러 오른 45.52달러 기록했습니다. 미국 관세 수혜주 종목으로 봐도 될 듯합니다. 트럼프 대통령의 상호관세 발표 이후 '빅테크 중심으로' 웬만한 미국주식 주요 종목의 내림세가 두드러졌습니다. 엔비디아, 브로드컴 같은 반도체 종목들도 걷잡을 수 없이 하락했습니다. 오히려 이와 반대되는 성격의 해당 ETF가 3배 올랐습니다. 이렇게 반도체 섹터 하락일 때 수익이 나도록 설계됐습니다. 반대로 해당 섹터가 오를 때는 손실을 볼 수 있는 종목이며, 반대 성격의 SOXL 수익률 강세가 됩니다.
SOXS ETF, SOXL과 함께 미국 관세 관련이 있는 이유
지난 4일 트럼프 대통령의 반도체 추가 관세 언급 때문입니다. 그러면서 엔비디아(-7.36%) 브로드컴(-5.01%) 인텔(-11.50%) 퀄컴(-8.58%) 등의 주요 반도체 섹터 종목이 폭락했습니다. 특히 엔비디아 94.31달러가 되면서 100달러 미만으로 주저 앉았습니다. 지난 1월 23일 147.22달러였는데 4월 초 현재 시점에서는 이때에 비해서 거의 50달러 날라갔습니다. 이들 종목의 공통점은 SOXL 주요 구성 종목입니다. 그 이전에는 엔비디아 주가 오름세 거듭하면서 한국인들에게 인기가 높았는데 지금은 전혀 다른 상황으로 관심을 받게 됐습니다. 이 종목이 하락하면 반대 포지션의 다른 ETF가 상승하는 성격이 있습니다.
미국 관세 수혜주 종목이 된 SOXS 관련된 슬픈 현실
혹시나 이 종목 최근에 투자하셔서 수익을 봤던 분들이 있을 것으로 예상합니다. SOXL ETF 전망이 어렵다면 다른 성격의 종목 흐름이 밝을 가능성 높기 때문입니다. 다만, 개인적인 생각으로는 국내에서 SOXS 보다는 SOXL 투자하신 분이 더 많은 것으로 파악됩니다.(토스 인기주식 상위에 SOXL이 항상 상위권에 뜨는 중. SOXS는 어쩌다 10위권 안에 포함되는 정도?) SOXS의 상승은 미국 반도체 업황이 어려울 때 강세이며, 그 영향을 국내 반도체 종목이 받기 쉽습니다. 공교롭게도 4월 7일 국내 시가총액 1~2위 삼성전자 -5.17%(53,200원) SK하이닉스 -9.55%(164,800원) 하락했습니다. 특히 SK하이닉스는 엔비디아 관련주 종목이라 하락 폭이 큽니다. 불과 얼마전 20만 원 넘었는데 어느 사이에 16만 원대로 내려 앉았습니다.
[사진 = SOXS 주가 최근 1개월, 3개월 모두 최고점 찍었습니다. 4월 3일에 이어 4일에 크게 올랐습니다. 미국 관세 수혜주 종목임을 알 수 있습니다. 웬만한 반도체 주요 종목 및 빅테크들은 같은 기간 폭락했습니다. 국내 증시 포함한 다수의 나라들 증시도 마찬가지입니다. 이 종목 오르는 흐름에 대한 사람들의 관점은 서로 다를 수 있지만, 증시가 계속 올라주기를 바라는 사람 입장에서는 반가운 존재가 아닐 수도 있습니다. (C) 아이폰 주식 앱]
[사진 = 해당 미국 ETF와는 다른 이야기입니다. 4월 7일 코스피 시가총액 1위 삼성전자, 2위 SK하이닉스 주가 하락은 미국 반도체 관세 여파와 관련 있습니다. 여기에 4월 7일은 코스피 2,300선으로 내려갔던 날입니다. 만약 이번 관세가 확정될 경우 한국 경제가 타격 받지 않을까 우려됩니다. 이 부분이 해당 미국 ETF에 영향을 줄 가능성 잠재적으로 있습니다. (C) 네이버 앱]
[사진 = 토스 해외주식 인기 차트 SOXL, SOXS 10위권안에 포함됐습니다. 제가 이 순위를 봤을 때는 각각 4위와 10위였습니다. 전자가 -20.3% 기록했다면 후자는 20.6% 올랐습니다. 서로 반대되는 성격임을 알 수 있습니다. 특히 후자는 최근 3개월 사이에 123.6% 올랐다고 합니다. 장 초반 급등세도 있었습니다. 둘 다 변동성이 높은 종목이라 앞으로의 추이가 어떻게 될지 알 수 없습니다. (C) 토스 앱]