스태그플레이션 뜻, 미국주식 난이도 높아지는 느낌
-최근 언론의 경제 뉴스에서 끊임없이 등장하는 그 단어, 심상치 않은 미국경제 침체 가능성
-트럼프 관세 발표(한국에는 25% 상호관세), 오히려 미국에 자충수 될까?
스태그플레이션 뜻 많은 분들의 궁금증을 자아낼 것으로 보입니다. 최근 경제 뉴스에 자주 등장하는 중인 단어이기 때문입니다. 미국주식하는 분들에게는 반갑지 않게 느껴지는 단어일 수도 있으나 한편으로는 이것을 기회로 여기는 분도 없지 않을 것 같습니다. 현재 시점에서는 전자에 속하는 분이 많을 겁니다. 만약 이 단계가 오게 된다면 미국의 경제 침체가 오면서 미국주식 영향 받을 가능성 높아 보입니다. 특히 테슬라 주가 상황을 봐도 현재 분위기가 심상치 않습니다. 여기에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의 관세 발표는 불난 집에 부채질하는 꼴이 된 것이 아닌가 싶습니다. 한국 포함 여러 국가들이 타격 받을 가능성 있습니다.
현재 미국주식 내림세 분위기입니다. 지난해 11월 트럼프 대통령 당선때는 테슬라 주가 필두로 크게 올랐지만, 올해 초 취임 이후 관세 이슈 및 캐나다/멕시코 같은 주변국과의 갈등으로 조정 폭이 커졌습니다. 그러면서 경제 뉴스에 스태그플레이션 단어가 점점 나타나기 시작했습니다. 트럼프 관세 정책이 오히려 미국 경제에 안좋은 영향 끼치는 것이 아니냐는 우려가 나왔습니다. 현지 시간으로 4월 2일에는 트럼프 대통령이 전 세계 대상으로 상호관세 발표했습니다.(한국에는 25% 관세 부과) 그 이후 애프터장 테슬라 주가 8% 폭락 나오면서 오히려 미국의 관세 정책이 자충수가 된 것이 아닌가 싶은 생각이 듭니다.
스태그플레이션 뜻 : 경기 침체 속 물가 상승
이 용어는 두 개의 단어가 합쳐진 합성어입니다. 경기 침체(Stagnation) 물가 상승(Inflation)을 합친 단어입니다.(Stagflation) 여기서 물가 상승 뜻하는 인플레이션 단어는 많이 들어보셨을 겁니다. 일반적으로 경기가 안좋을 때는 사람들의 소비 심리가 위축되면서 물가가 내려갑니다. 그런데 스태그플레이션 때는 달라집니다. 경기는 안좋은데 물가는 꾸준히 오르는 현상입니다. 대표적인 시기가 1970년대 오일 쇼크입니다. 미국의 경제 분위기가 좋지 않았을 때 국제 유가 급등하는 바람에 물가 크게 오르면서 스태그플레이션이 왔습니다.
그렇다면 미국의 관세 정책과 스태그플레이션은 연관이 있는 걸까?
트럼프 대통령은 4월 2일 전 세계 대상으로 상호관세 발표했습니다. 미국으로 향하는 모든 수입품에 관세가 붙게 됩니다. 오히려 미국 소비자들에게는 안좋은 상황을 초래할 우려가 있습니다. 미국에서 판매되는 제품 인상 가능성 높기 때문입니다. 그러면서 물가 상승 유발하게 됩니다. 이것이 미국인들의 소비 위축으로 이어지면 경기 침체로 이어지면서 스태그플레이션 현상 나타날지 모릅니다. 미국주식 영향 안받을 수가 없을 겁니다. 빅테크 종목들이 약세를 나타낼 가능성 있습니다. 반면 코카콜라 같은 경기방어주 종목들에 대한 사람들의 관심이 나타날 수도 있습니다.
[사진 = 미국 시간 4월 2일 트럼프 대통령 관세 발표 이후 미국주식 애프터장에서 테슬라, 코카콜라 명암이 서로 엇갈렸습니다. 전자는 8% 폭락, 후자는 사실상 타격 없다고 보시면 됩니다. 한국의 미국주식 투자자들에게 가장 핫했던 테슬라 주가 폭락이 눈에 띕니다. 관세 발표 이전까지는 300달러 회복할 기세였다가(한때 290달러 돌파) 갑자기 260달러로 내려갔습니다. 반면 경기방어주로 꼽히는 코카콜라는 다릅니다. 지난 2월에 70달러 돌파하면서 트럼프 관세 이슈로 수혜를 봤던 종목이 됐습니다. 4월 2일 트럼프 관세 발표 이후에도 70달러 이상을 지켰습니다. (C) Yahoo Finance App]
스태그플레이션 미국주식 서로의 연관성은?
4월 2일 트럼프 관세 발표 이후로 금 시세 1% 올랐습니다. 국제 금 현물 가격은 온스당 3,167.57달러로 사상 최고치 기록했습니다. 이는 투자자들의 관심이 안전자산으로 향했음을 알 수 있습니다. 이러면 미국주식에는 좋은 상황이 아닙니다. 미국 경제 침체 가능성이 있는 상황에서 투자자들이 안전자산으로 이동하는 경향이 뚜렷하게 나타났기 때문입니다.
이 현상이 더 두드러지면 미국 빅테크 주가 및 성장주 종목이 안좋은 영향 받을 우려가 있습니다. 가장 대표적 종목이 테슬라입니다. 최고가에서 거의 반토막났습니다. 한편으로는 경기방어주 및 원자재 관련(금, 원유 등) 주식 향한 관심 가지는 분이 많을 것으로 보입니다. 다만, 코카콜라는 최근 1년 최고가 사실상 찍었기 때문에 이 종목 투자 권유하는 것은 아닌점 참고하시기 바랍니다.
스태그플레이션 가까워질 수록 원화 가치 하락할까?
물론 이런 상황이 없기를 바랍니다. 한국의 경제 침체가 나타날 우려가 있기 때문입니다. 그런데 한국은 원자재를 수입하는 나라입니다. 만약 글로벌 경기 침체에 의한 원자재 가격 오름세가 나타날 경우 우리나라의 무역수지는 안좋게 됩니다. 여기에 트럼프 관세 이슈로 한국의 대미 수출은 타격 받을 가능성 높습니다. 이러한 상황을 종합하면 원화 가치 하락 가능성 있습니다. 특히 4월 3일 엔화 환율 990원 돌파가 눈에 띕니다. 일본의 엔화는 안전자산으로 꼽힙니다. 원화 가치의 하락을 의미하는 것이 아닌가 걱정스러운 부분입니다.
[사진 = 이 글을 작성하는 도중에, 오후 5시가 되면서 토스 알람으로 SOXL 10% 하락 메시지 받았습니다. 현재 14.74달러(약 21,327원)라고 합니다. 얼마 전 20달러 미만이 되더니 이제는 15달러 미만으로 내려갔습니다. 이 종목은 한국인들에게 익숙한 미국 ETF이며, 미국 반도체 3배 ETF입니다. 토스에 따르면 현재 기준으로 주식 고수들의 92%가 샀다는 정보를 공개했습니다. 하지만 또 다른 정보도 있습니다. 최근 1년 사이에 61.6% 하락했다고 합니다. 이 글은 해당 종목 투자 권유하지 않음을 밝힙니다. (C) 토스 앱]
[사진 = 한국의 많은 분들이 미국주식 Spy etf 투자하는 중입니다. ISP, 연금저축 등의 목적으로 말입니다. 이 종목이 트럼프 관세 이슈가 나오면서 내림세 두드러졌는데, 4월 2일 트럼프 관세 발표 이후에는 애프터장에서 더 빠졌습니다. 종가는 564.52달러로 마감했는데, 관세 발표 이후 애프터장에서 2.74% 내려간 549.08달러 기록했습니다. (C) 아이폰 주식 앱, Yahoo Finance App]
[사진 = 4월 3일 현재 기준 한국에서 가장 인기 높은 미국주식 종목들은 테슬라 계열입니다. 토스 인기 종목 1~3위 각각 Tsll(테슬라 2배 ETF), 테슬라 본주, TSLQ(테슬라 2배 인버스 ETF) 입니다. 1위와 2위 종목은 애프터장에서 폭락한 반면 3위 종목이 올랐습니다. 특히 테슬라 본주는 토스에서 주식 고수들 69%가 매수했다고 합니다. 테슬라 내림세가 두드러질 수록 관련 종목들 관심 가지는 분이 많음을 알 수 있습니다. 하지만 이 선택이 옳은지는 알 수 없습니다. 만약 스태그플레이션 현상이 나타난다면 테슬라 포함한 빅테크 종목에는 반갑지 않을 수도 있습니다. (C) 토스 앱]