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시사 & 경제

청년도약계좌 신청기간 2월 및 조건 알아보니?

청년도약계좌 신청기간 2월 및 조건 알아보니?

 

-지난 1월부터 정부기여금 확대로 혜택 강화, 1월에 신청 놓쳤다면 2월에 기회가 있다

-2024년 연말까지 누적 157만 명 가입, 2025년에는 더 늘어날까?

 

 

청년도약계좌 신청기간 2월 일정 확정되면서 조건 및 혜택 등에 대하여 관심 가지는 분들이 계실 것으로 보입니다. 특히 지난해 연말까지 가입하신 분이 누적 157만 명으로 알려졌습니다. 여기에 2025년 1월부터 혜택이 커지면서 목돈 마련 목적으로 가입 여부에 관심을 갖는 청년들이 늘어날 가능성 있습니다. 물론 청년도약계좌 조건 충족해야 가입 가능합니다. 정부에서 청년의 안정적 목돈 마련을 위해 선보이는 존재로서 여러 혜택이 마련됐습니다. 지난 1월에 가입하지 못했던 분들에게는 이번 2월에 가입할 수 있는 기회가 왔습니다. 참고로 1월에 이어 2월에도 특정일까지 가입을 마쳐야 합니다. 그래서 일정 체크를 해야 합니다.

 

 

[이미지 생성 = ChatGPT]

 

청년도약계좌 지난 1월부터 혜택이 강화되면서 눈길을 끌게 됐습니다. 정부기여금 1개월 최대 24,000원에서 33,000원까지 늘어났기 때문입니다.(5년 동안 최대 198만 원) 33,000원은 개인소득 2,400만 원 이하이신 분들이 해당됩니다. 또 다른 혜택 변화는 매칭한도 확대입니다. 기존에는 1개월 40~60만 원이었는데 이제는 모든 소득 구간에서 70만 원으로 바뀌었습니다. 만약 개인소득 2,400만 원 이하이신 분이 5년 동안 매월 70만 원 적립하면, 최고 연 6% 금리 적용되면서 만기가 될 때 최대 5,061만 원 받을 수 있는 것으로 알려졌습니다.

 

 

2025 청년도약계좌 신청기간 및 조건 살펴봤더니?

 

- 신청 : 2025년 2월 3일 월요일 ~ 2월 14일 금요일(주말 제외)

- 가입요건 확인 : 2월 17일 월요일 ~ 2월 19일 수요일

- 1인가구 계좌개설 : 2월 20일 목요일 ~ 2월 28일 금요일

- 적격자 전체 계좌개설 : 3월 4일 화요일 ~ 3월 14일 금요일

(2인 이상 가구 해당)

*계좌 개설은 영업일만 해당

 

- 조건 : 만 19~34세 청년

(병역이행기간에 따라 최대 만 40세까지 가능)

- 소득 요건

+ 개인 : 연소득 7,500만 원 이하, 종합소득 연 6,300만 원 이하

+ 가구 : 기준 중위소득 250% 이하(매년 변동됨)

+개설일이 속한 과세기간의 직전 3개 과세기간 중에서 1회 이상 금융소득 종합과세 대상과 관련없는 경우

 

- 취급 은행 : KB국민, NH농협, 신한, 우리, 하나, IBK기업은행 및 부산/전북/광주/경남/iM뱅크(구 대구은행) 총 11개 은행

- 은행에 따라 금리 및 우대 조건이 다름(기본 금리 연 4~6%, 우대 금리 최대 1%)

- 1개월 1,000원 ~ 700,000원까지 자유 납입

- 만약 70만 원씩 적립하면서 만기(5년) 채웠을 경우 소득 구간에 따라 약 5,000만 원 전후의 자산 형성 가능(개인소득 2,400만 원 이하이신 분이 유리)

-청년희망적금 보유하신 분은 계좌개설 불가

(청년희망적금 해지하기 이전에 가입하신 분은 가능)

 

 

[이미지 생성 = ChatGPT]

 

2025 청년도약계좌 혜택 (현재 기준)

 

-정부기여금 1개월 최대 24,000원에서 33,000원까지 확대

-2년 이상 가입 시 신용 점수 상승(800만 원 이상 납입 필수)

-3년 이상 가입 유지하면서 중도해지 시 비과세 및 기여금 일부(60%) 지원

-이자소득세 및 농어촌특별세 비과세 적용

 

여기서 가장 주목받는 특징은 정부기여금 확대입니다. 개인소득 수준에 따라 2,400만 원 이하(1개월 33,000원, +9,000원) 2,400만 원 초과 ~ 3,600만 원 이하(29,000원, +6,000원) 3,600만 원 초과 ~ 4,800만 원 이하(25,000원, +3,000원)이신 분들이 해당됩니다. 4,800만 원 초과 ~ 6,000만 원 이하(21,000원) 기존과 동일합니다. 2024년 12월까지 가입하셨던 분들은 지난 1월 1일 이후 납입분부터 적용됩니다.

 

 

2025 청년도약계좌 신청기간 2월 주목받는 이유는?

 

지난 1월부터 정부기여금 확대 변화 등이 여론의 주목을 받았던 영향이 있습니다. 지난달에는 신청이 1월 10일까지만 가능했습니다. 가입 시기를 놓친 분들은 2월을 주목하실 겁니다. 안정적인 목돈 마련에 관심을 두면서, 청년도약계좌 조건 충족되는 청년분이라면 높은 이자 및 정부기여금 확대 때문에 최근 가입 여부에 대하여 관심 가지셨을 것으로 보입니다. 앞에서 언급했던 것처럼, 3년 이상 가입 후 해지하더라도 관련 혜택 받을 수 있으나 청년도약계좌 가입기간 5년 임을 인지하셔야 합니다. 가입 여부는 신중하게 판단하셔야 합니다.

 

청년도약계좌 만기 시 받을 수 있는 금액은?

 

개인소득 2,400만 원 이하에 속하는 분이 1개월 70만 원씩 적립하셨을 경우 정부기여금 33,000원 혜택 누릴 수 있으며, 만기(5년) 시 원금 4,200만 원 포함하여 최대 5,061만 원까지 받을 수 있습니다.(연 최대 9.54%의 일반적금 가입한 것 같은 효과)

 

2,400만 원 초과 ~ 3,600만 원 이하 최대 4,981만 원(정부기여금 29,000원) 3,600만 원 초과 ~ 4,800만 원 이하 최대 4,956만 원(정부기여금 25,000원) 4,800만 원 초과 ~ 6,000만 원 이하 최대 4,928만 원입니다.(정부기여금 21,000원) 연 소득 2,400만 원 이하 청년분에게 혜택이 큽니다.

 

 

[사진 = 2025 청년도약계좌 신청기간 2월 일정 이렇습니다. 2월 3일부터 2월 14일까지 가입 가능합니다. 지난 1월에는 1월 2일부터 1월 10일까지 총 7일(주말 제외)만 신청할 수 있었습니다. 이번 2월에는 신청할 수 있는 날이 총 10일(주말 제외)입니다. 이렇게 일정 참고하시면 좋습니다. (C) 서민금융진흥원 홈페이지]

 

 

[사진 = 청년도약계좌 정부기여금 확대 올해부터 달라졌습니다. 개인소득에 따라 기존에는 21,000원 ~ 24,000원이었는데 지난 1월부터 21,000원 ~ 33,000원으로 달라졌습니다. (C) 서민금융진흥원 홈페이지]

 

[사진 = 청년도약계좌 금리 은행마다 다릅니다. 그래서 은행연합회 소비자포털 홈페이지를 통해 비교하시면 좋습니다. 기본금리는 시중은행들이 높으나 은행별 우대금리는 지역을 기반으로 하는 은행에서 높게 나옵니다. 우대금리 세부사항도 서로 다릅니다. 이러한 부분 참고하셔서 자신에게 가장 어울리는 은행을 선택하시면 좋습니다. (C) 은행연합회 소비자포털 홈페이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