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니어스법안 코인베이스 글로벌 및 리플 최고가 이유
지니어스법안 코인베이스 글로벌 및 리플 최고가 이유
-스테이블코인 제도권 편입을 위한 해당 법안 미국 상원에 이어 하원 통과, 이제 트럼프 서명만 남았다!
-미국증시 관련 종목 코인 베이스 최고가 현재 진행형, 리플 최고가 돌파
지니어스법안 코인베이스 글로벌 미국주식 수혜 종목으로 떠올랐습니다. 비트코인 같은 주요 코인들도 오름세였으며, 이들 중에서 눈에 띄는 존재는 그동안 한국인들에게 꾸준한 인기였던 리플인 것 같습니다. 미국주식과 가상화폐 투자하는 분들에게 해당 법안의 미국 하원 통과 여부가 최근에 눈길을 끌었는데 한때 부결되었으나 다음날 가결됐습니다. 도널드 트럼프 대통령이 해당 법안 통과 반대했던 의원들을 설득하면서 찬성을 이끌어냈던 영향이 큽니다. 이는 트럼프 대통령이 해당 법안 찬성한다는 뜻으로 볼 수 있으며, 이것이 현실화된다면 미국의 가상화폐 패권 장악이 탄력 받을지 주목됩니다.
*이 글은 투자 권유 포스팅이 아니며, 투자에 따른 책임은 투자하시는 분에게 있습니다.
최근 미국주식 및 가상화폐 분야에서 핫한 섹터가 스테이블코인(Stablecoin) 입니다. '안정적인(Stable) + 코인(Coin)'이 합쳐진 단어로서 비트코인 같은 기존에 많은 사람들에게 익숙했던 코인보다 시세 변동성이 적기 때문에 안정적이면서, 달러 같은 법정화폐와 일대일 형태로 연동되는 형태가 많다고 합니다. 기존의 해외 송금보다 신속하게 거래할 수 있으며, 수수료도 낮아 해외에서 사용되는 경우가 많은 것으로 알려졌습니다. 이번에 미국 상하원 지니어스법안 통과로 스테이블코인 신뢰도 오를 것으로 보입니다. 특히 트럼프 대통령이 찬성하고 있다는 것은 무언가의 의도가 있음을 알 수 있습니다. 그러면서 관련 종목들이 미국주식 및 가상화폐 분야에서 주목을 끌게 됐습니다.
1. 미국에서 지니어스법안 활성화 탄력 받을 전망
사실, 지니어스법안은 스테이블코인 규제 목적입니다. 여기서 말하는 규제는 해당 코인을 없애는 것이 아닌, 해당 코인의 발행 및 운영에 대하여 재무부 및 연방준비제도(FED)에서 관리 감독을 받게 됩니다. 스테이블코인의 안정성 및 신뢰도가 확보되므로 미국에서 송금 및 디지털 결제를 통해 쓰이는 경우가 지금보다 더 늘어날 가능성 잠재적으로 높습니다. 애플, 아마존, 구글 같은 빅테크 기업들도 해당 코인 활용 검토하고 있다고 합니다. 특히 스테이블코인(USDC, USD Coin)은 달러 기반인 강점이 있습니다. 지니어스법안 코인 수혜주 종목으로 USDC 발행사 써클 인터넷 그룹(CRCL) 최근 오름세 탄력 받는 이유입니다. 불과 얼마 전까지 CRCL 조정의 폭이 깊어지면서 이 종목 투자했던 분들은 인내의 시간을 보냈으나 이제는 상황이 달라졌습니다. 결과적으로 조정 구간이 지지라인이었습니다.
2. 트럼프 대통령이 스테이블코인 지지하는 이유는 뭘까?
지니어스법안 미국 상하원 모두 통과되면서 이제 트럼프 대통령의 서명만 남았습니다. 그는 서명할 가능성 매우 높습니다. 그 목적에 대하여 여러 이유가 거론되고 있으며 크게 3가지 꼽을 수 있습니다. (1) 달러 영향력 강화 (2) 중국의 중앙은행 디지털 화폐(CBDC) 발행 견제 (3) 미국 국채 수요 높이면서 달러 활성화되는 것입니다. 스테이블코인 발행사는 해당 코인 1개 당 달러 또는 미국 단기 국채(만기 93일 이하)도 보유하게 됩니다. 만약 해당 코인의 발행 및 시장이 활성화된다면 발행사들의 미국 국채 매입이 더 늘어납니다. 2024년 재정 적자 1.8조 달러로 알려진 미국의 문제점이 약간이나마 줄어들 가능성 있습니다. 어쩌면 트럼프 대통령의 관세 정책이 생각만큼 효과를 거두지 못하면 스테이블코인 정책을 통해 재정적자를 줄일 가능성도 있지 않을까 개인적으로 예상하는 부분이 있습니다.
[사진 = 지니어스법안 코인베이스 글로벌 수혜주 종목입니다. 이 종목은 미국 최대의 가상화폐 거래소입니다. 스테이블코인 거래량 늘어날 가능성이 예상되면서 주가 오름세 탄력 받았습니다. 7월 17일에 처음으로 400달러 넘었습니다.(410.75달러, 전날보다 12.55달러 증가) 7월 18일 현재 프리장에서는 418.74달러 기록중입니다. 불과 2개월 전이었던 5월 초 무렵에는 232달러 전후에 있었는데 이제는 거의 2배 올랐습니다. (C) 아이폰 주식 앱]
3. 지니어스법안 관련주 및 관련코인 종목들, 그리고 캐시 우드
미국주식 종목중에서는 거래소 종목인 코인베이스 글로벌(COIN) 로빈 후드(HOOD) 및 USDC 발행사 써클 인터넷 그룹(CRCL) 돋보였습니다. 거래소 두 종목이 전고점 기록을 새롭게 경신했다면, 써클 인터넷 그룹은 다시 오름세 회복하며 230달러대 넘었습니다. 공교롭게도 미국의 유명 투자자 '돈나무 언니' 캐시 우드가 최근에 투자했던 종목이라는 공통점이 있습니다.(그러면서 COIN, CRCL 매도 사례가 있음)
관련코인 중에는 리플(XRP) 최고가 경신이 눈에 띕니다. 다른 코인들도 올랐지만, 리플 시세 오름세 주목받는 이유는 한국인들에게 인지도 높은 영향도 없지 않을 겁니다. 굳이 스테이블코인과의 연관성을 꼽으라면, 리플 발행사 리플랩스에서 지난해 RLUSD라는 달러 연동 스테이블코인 출시와 관련있지 않을까 싶습니다.
4. 트럼프 서명 시, 스테이블코인 시장 활성화 탄력 받을까?
아마도 트럼프 대통령 서명은 시간 문제가 될 것 같습니다. 앞으로 미국에서 스테이블코인 기반 결제가 늘어날 것으로 보이며 글로벌 기업들의 참여가 예상됩니다. 애플과 구글 같은 빅테크 기업들의 도입 및 아마존과 월마트의 해당 코인 발행 가능성이 주목받은 바 있습니다. 만약 미국 내에서 해당 코인 활성화된다면 미국주식 및 가상화폐 분야에서 이와 밀접한 종목들이 눈길을 끌게 될 것입니다. 지니어스법안 코인베이스 글로벌 및 로빈후드 같은 거래소 종목들을 계속 주목해야 할 것 같습니다. 가상화폐 섹터가 강세일 때는 거래소 종목이 긍정적 영향을 받는 것이 최근 분위기입니다.(개인적으로 이전에 언급했지만, 미국주식 중에서 가상화폐 주도주는 코인베이스 글로벌 종목이라고 봅니다. 스테이블코인 관련주 종목이기도 합니다. USDC 개발 경험이 있으며, 써클 인터넷 글로벌에 전략적 지분이 있습니다.)
[사진 = 최근 분위기 살아난 써클 인터넷 글로벌 주가. 7월 17일 235.08달러 기록했으며 7월 18일 프리장 현재는 243달러 도달했습니다. 지니어스법안 미국 하원 통과 전에는 200달러대 미만까지 내려갔는데 이제는 상황이 달라졌습니다. 결과적으로 200달러대 미만에서 지금까지 보유하면서 투자하셨던 분들이 수익을 내셨을 것입니다. (C) 아이폰 주식 앱]
[사진 = 로빈후드 주가 오름세 또한 눈길을 끕니다. 최근에 100달러 넘었습니다. 불과 3개월 전에는 40달러대였는데 이제 2배 이상 올랐습니다. (C) 아이폰 주식 앱]
[사진 = 코인베이스 글로벌, 로빈후드, 써클 인터넷 그룹 함께 포함된 ETF들이 있습니다. 캐시 우드의 투자회사 아크 인베스트먼트에서 운영하는 ARKF(아크 핀테크 이노베이션 ETF, 핀테크 기업 투자) ARKK(아크 이노베이션 액티브 ETF, 혁신기업 투자) 보유 종목 중에서 비중이 높은 편입니다. 두 ETF 모두 꾸준한 오름세 나타냈습니다. 참고로 ARKK는 테슬라 비중이 가장 높습니다. 두 ETF에 팔란티어 비중이 어느 정도 포함된 점도 눈길을 끕니다. (C) 토스 앱]