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사 & 경제

더즌 공모주 수요예측, 주요 특징 살펴보니?

나이스블루 2025. 3. 8. 18:01

더즌 공모주 수요예측, 주요 특징 살펴보니?

 

-기업용 금융 부가가치통신망(VAN) 사업체, 2대 주주는 카카오페이

-매년 매출액 상승 추세, 영업이익 및 당기순이익 모두 흑자...상장일 유통 가능 물량 18.70%로 적은 편

 

 

더즌 공모주 일반 청약자들의 관심을 끌 것으로 예상됩니다. 3월 둘째 주 등장 예정인 종목들 중에 하나이며, 티알엑스로보틱스와 함께 지속적으로 흑자 기록중인 특징이 있습니다. 현재 공모주 시장이 좋은 분위기로 회복 되었지만, 일반 청약자 입장에서 상장 첫 날에 수급이 들어올 만한 종목을 찾는데 있어서 흑자 기업 여부를 중요하게 살펴보기 쉽습니다. 더즌은 2021년 이후 기준으로 매년마다 흑자를 냈던 기업입니다. 2024년 3분기 매출액은 2023년 전체 매출액 기록을 넘어섰습니다. 향후 싱가포르 및 인도네시아 진출을 통해 글로벌 시장에서 성공할 수 있을지 여부가 주목됩니다.

 

*이 포스팅은 투자 권유 목적이 아니며, 투자에 따른 책임은 투자하시는 분에게 있습니다.

*이 종목 수요예측 결과 3월 11일 오후 업데이트 완료.

 

 

더즌 공모주, 기업간거래(B2B) 중심의 기업...다양한 고객사 확보

 

2017년 설립된 이 회사는 주로 B2B 중심으로 디지털뱅킹 솔루션(펌뱅킹, 가상계좌, 부가서비스) 크로스보더 자금관리솔루션(크로스보더 자금정산), 데이터솔루션(아파트EPR, 매시징서비스, 플랫폼 제휴서비스) 분야에서 활동했던 기업입니다. 고객의 니즈에 맞춰, 보다 간편하게 해결할 수 있는 서비스를 제공하는 활동을 합니다. 특히 디지털 뱅킹 서비스 분야에서는 한국의 다수 금융사 및 시중은행을 고객으로 보유하며 매출을 크게 늘렸습니다. 업계 최초로 이중화 기술을 개발하여 2개의 사업자를 통한 금융 거래 처리 가능 구조를 구축하며 시장 경쟁력을 키웠습니다. 여기에 이커머스 및 핀테크, 대기업, 정부기관에 이르기까지 수많은 고객사를 확보하며 안정적인 매출을 냈습니다. 카카오페이가 2대 주주라고 합니다.(지분 8.41%, 공모 후 기준)

 

 

약 400여 개사의 매출처 확보한 흑자 기업, 매년 매출액 향상 중

 

더즌 수요예측 만약 잘 나올 경우 그 요인 중에 하나는 매출처 다변화라고 봅니다. 고객사가 많이 확보된 영향이 큽니다.(약 400여 개사) 2021년 매출은 주로 펌뱅킹(43.86%) 부가서비스(26.92%)에 집중됐습니다. 그 이후 2024년 3분기 펌뱅킹(21.98%) 부가서비스(6.09%) 기록했음에도 역대 최대 매출 기록했습니다. 메시징서비스(40.54%) 크로스보더 자금정산(17.83%) 플랫폼 제휴서비스(7.19%) 분야에서 수익 확보한 영향이 큽니다. 특히 메시징서비스는 2023년부터 매출이 발생했습니다. 대량 메시지 발송을 원하는 고객을 통해서 매출을 벌어들였습니다. 매출액의 경우 매년 계속 증가했습니다. 2024년 3분기 매출액은 469.1억 원이며 2023년 전체 매출액 420.6억 원을 넘었습니다. 영업이익(78.8억 원) 당기순이익(77.6억 원) 흑자입니다.

 

더즌 공모주, 변수는 이것일 수도?

 

주로 두 가지를 꼽을 수 있습니다. 첫째는 부채비율입니다. 2024년 3분기 166.02%로서 업종 평균 71.75%에 비해 높습니다. 그나마 2021년 533.32%, 2022년 290.72%, 2023년 210.72%에 비해서 계속 줄어드는 중입니다. 회사의 실적은 좋으나 부채비율이 높은 상황입니다. 둘째는 공모주 종목으로서 무게가 가벼운 편은 아닙니다. 희망 공모가 밴드 10,500원 ~ 12,500원이며(*3/11업데이트 : 최종 공모가 9,000원이며 밴드 하단보다 더 내려갔습니다.), 만약 최종 공모가 금액이 상단이라고 가정하면 공모금액 313억 원, 시가총액 2,945억 원입니다. 상장예정 주식수(23,461,578주)가 많습니다. 그나마 상장일 유통가능물량 18.70%로서 적은 편에 속하는 점은 긍정적입니다. 상장일 시점에 국내증시 분위기가 좋다면 어떤 추이를 나타낼지 궁금합니다.

 

 

[사진 = 더즌 공모주 2021년 이후 기준으로 매출액 매년 상승했습니다. 2024년 3분기 매출액 469.1억 원은 2021년 144.6억 원보다 3배 이상 높은 규모입니다. 불과 3년 사이에 어마어마한 매출을 벌어들였습니다. 영업이익과 당기순이익 추이도 좋아 보입니다. 2023년 영업이익과 당기순이익은 모두 100억 원 넘었습니다. (C) DART 공식 홈페이지]

 

 

더즌 공모주 청약 일정 및 주관사

 

- 청약일 : 3월 12일(수) ~ 13일(목)

- 환불일 : 3월 17일(월)

- 상장일 : 3월 24일(월)(예정)

 

- 공모가액 확정 및 수요예측 결과 발표일 : 3월 11일(화)

(*3/11 업데이트 : 의무보유확약 참여건수 기준 0.29%, 수량 기준 0.72% / 최종 공모가 : 9,000원 / 기관 참여기관 수 : 1,366개, 경쟁률 461.95대 1)

 

- 주관사 : 한국투자증권

- 일반 청약자 배정 물량 : 최소 625,000주(균등 최소 312,500주)

- 적용 PER : 33.70배

- 환매청구권 없음

- 상장 직후 유통 가능 물량 : 18.70%

 

더즌 수요예측 통해서 의무보유확약 공개된다면 기관들이 어떤 시각으로 이 기업을 바라보는지 알 수 있습니다. 실적이 좋은 흑자 기업, 약 400여 개사의 고객사 확보, 이전보다 늘어난 매출처 확보는 긍정적 요소로 꼽힙니다. 비록 부채비율이 업계 평균에 비해 높으나 과연 실적 추이로 상쇄할 수 있을지 주목됩니다. 상장 이후 조달된 자금의 일부는 싱가포르 및 인도네시아 자회사 유상증자 참여에 쓰일 예정이라고 합니다. 글로벌 무대에서 빼어난 역량을 발휘할 수 있을지 기대됩니다.

 

 

[사진 = 더즌 공모주 청약일정 이렇습니다. 기관 대상의 수요예측은 지난 3월 7일에 끝났습니다. 오는 11일에 결과 공개됩니다. 희망 공모가 밴드 10,500원 ~ 12,500원입니다.(*3/11 업데이트 : 최종 공모가 9,000원) 과연 기관들이 어느 금액대에 많이 제시했을지 주목됩니다. 아울러 3월 24일 상장 예정입니다. 현재 시점에서는 단독 상장 가능성 높습니다. 국내증시에서 딱히 변수가 없다면 상장 첫 날 어떤 추이를 나타낼지 주목됩니다. (C) DART 공식 홈페이지]

 

 

[사진 = 이 종목의 청약 수량 최소 20주입니다. 최종 공모가 9,000원이므로 청약증거금 90,000원입니다. 이 금액으로 최소 균등 1주 신청할 수 있습니다. 만약 이 종목 비례 배정 노리시는 분이라면 해당 증권사 등급에 따른 고객 청약한도가 다르다는 점 참고하시면 됩니다. (C) DART 공식 홈페이지]

 

 

[사진 = 이 종목의 비교대상회사 PER 33.70배입니다. 다소 높은 편에 속합니다. 알고보니 비교기업으로 산정된 3개 회사 모두 PER이 높은 편입니다.(29.03배, 32.57배, 39.52배) 이 부분도 참고해야 할 부분 같습니다. (C) DART 공식 홈페이지]

 

 

[사진 = 이 종목은 코스닥 상장 예정입니다. 지난 7일에 -0.98% 하락하면서 720선으로 내려갔습니다. 불과 얼마전까지 750선 넘었는데 최근 흐름은 소강 상태입니다. 코스피 지수도 다시 2,500선으로 내려갔습니다. 이 종목 상장 시점에 코스닥 지수가 어떤 추이를 나타낼지 주목됩니다. (C) 네이버 앱]

 

 

[사진 = 더즌 공모주 한국투자증권 통해서 청약신청 가능합니다. 신청은 3월 12일부터 13일까지 가능합니다.(08:00 ~ 16:00) 해당 증권사의 공모주 청약 수수료 온라인 2,000원 및 오프라인 5,000원입니다. 아마도 온라인으로 신청하는 분이 많을 것으로 보입니다. 만약 비례 배정 노리시는 분은 자신의 청약한도를 확인하면서 진행하는 것이 좋습니다. (C) 한국투자증권 앱]