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로마티카 공모주 수요예측, 균등 배정 어떻게 될까?
-천연 및 클린뷰티 화장품 제조사, 2024년 해외매출 증가 및 공모가 1만 원 미만 눈에 띈다
-해당 종목은 신한투자증권 통해서 청약 신청 가능...온라인 청약 시 수수료 2,000원(일부 등급 무료)
아로마티카 공모주 주목하는 분이 많을 겁니다. 이번달 상장했던 종목들 흐름이 좋기 때문입니다. 11월 13일 상장했던 큐리오시스 같은 경우 시초가 300% 올랐습니다. 그러면서 앞으로 상장 예정인 종목들 긍정적 흐름을 기대하는 사람이 많아졌습니다. 더핑크퐁컴퍼니 같은 경우 청약건수 467,472건 기록했습니다. 지금 분위기에서 수요예측 결과 좋게 나오는 종목이라면 40만 명 이상 청약 신청할 가능성 높습니다. 다만, 1인당 균등 배정 수량이 낮아지면서 균등 0주 배정 받는 경우가 많습니다. 그렇다면 11월 셋째 주 청약 예정인 이 종목은 과연 어떤 추이를 나타낼지 궁금합니다.
*이 포스팅은 투자 권유 목적이 아니며, 투자에 따른 책임은 투자하시는 분에게 있습니다.

아로마티카 공모주 신한투자증권 통해서 청약 신청 가능합니다. 2004년 브랜드 런칭했던 친환경 화장품 기업이자 '클린 뷰티'라는 브랜드를 표방하는 국내 비건 뷰티 분야의 1세대 기업이라고 합니다. 2025년 7월부터 9월까지 비건 화장품 브랜드평판 순위에서는 각각 2위-3위-3위 기업에 선정됐습니다. 국내 비건 화장품 분야에서는 브랜드 인지도가 높은 기업으로 판단됩니다. 특히 COSMOS(COSmetic Organic Standard) 인증이 눈에 띕니다. 유럽 4개국 5개 인증기관 연합이 제정했던 국제 표준의 유기농 및 천연 화장품 인증마크로서 모든 과정 까다로운 기준 적용해서 평가하는 곳입니다. 향후 글로벌 클린 뷰티 시장 규모가 커지면 가치가 높을 것으로 기대되며, 해당 기업만의 특색이 있는 화장품 관련주 종목으로 판단됩니다.
1. 주력 제품은 무엇인가?
주로 두 가지 입니다.
-로즈마리 스칼프 스케일링 샴푸 : 2025년 반기 기준 전체 매출액 약 10.04%(2024년 8.66%에서 상승)
-로즈마리 루트 인핸서 : 2025년 반기 기준 전체 매출액 약 11.50%(2024년 10.42%에서 상승)
그 외에 여러 제품들을 선보이고 있으나 지금까지의 매출 비중에서는 두 제품이 10% 이상 기록중입니다. 해당 기업의 매출액 관리에 있어서 두 제품의 비중이 커지는 중입니다. 내년 2분기와 3분기에는 새로운 신제품들을 선보이며 매출 다각화를 꾀할 전망입니다. 국내외 시장에서 통할 수 있는 제품이 늘어나면 늘어날 수록 매출액 증가 기대할 수 있을 것 같습니다.
2. 해외매출 증가 눈에 띄는 기업, 특히 미국과 일본
아로마티카 공모주 화장품 관련주 종목입니다. K-뷰티 기업이라 해외 시장에서의 경쟁력이 어떻게 될지 궁금하신 분들이 계실 것 같습니다. 해외 매출은 이전보다 늘어나는 추세입니다.
2022년 66.64억 원(전체 매출액 비중 18.5%) : 미국(4.9%) 일본(6.1%)
2023년 111.75억 원(전체 매출액 비중 25.1%) : 미국(7.3%) 일본(4.3%)
2024년 144.75억 원(전체 매출액 비중 27.5%) : 미국(6.8%) 일본(7.1%)
2025년 반기 7,631억 원(전체 매출액 비중 31.2%) : 미국(8.2%) 일본(8.7%)
아로마티카 전체 매출액에서 해외매출 비중이 점점 커지는 추세입니다. 2024년 해외 매출액이 2023년을 넘었습니다. 2025년 반기의 경우 미국과 일본에서의 매출 비중이 높아졌습니다.

사진 (C) DART 홈페이지
아로마티카 공모주 재무 상황이 어떤지 살펴봤습니다.
2022년 매출액 : 359.40억 원, 영업이익 : 4.04억 원, 당기순이익 : 5.12억 원
2023년 매출액 : 445.54억 원, 영업이익 : 33.08억 원, 당기순(손실) : -57.83억 원(회계기준 변경과 연관됨)
2024년 매출액 : 525.96억 원, 영업이익 : 56.54억 원, 당기순이익 : 44.32억 원
2024년 반기 매출액 : 275.46억 원, 영업이익 : 18.93억 원, 당기순이익 : 12.67억 원
2025년 반기 매출액 : 244.60억 원, 영업이익 : 22.37억 원, 당기순이익 : 17.60억 원
2024년까지의 매출액, 영업이익, 당기순이익은 2023년을 넘었습니다. 2025년 반기는 2024년에 비해 매출액이 약간 줄었으마 영업이익과 당기순이익 우세로 나타났습니다. 영업이익률의 경우 2022년부터 2024년까지 1.1%, 7.4%, 10.7%로서 점점 높아졌습니다. 2025년 반기까지의 재무 상황은 양호합니다.
아로마티카 공모주 청약 일정 및 균등 비례 수량
청약일 : 11월 18일(화) ~ 19일(수)
환불일 : 11월 21일(금)
상장일 : 11월 27일(목, 예정)
-미래에셋비전스팩8호 상장 예정일과 동일(현재 기준)
주관사 : 신한투자증권
일반 청약자 주식 수 : 최소 750,000주
균등 및 비례 수량 : 각각 최소 375,000주
상장 직후 유통가능물량 : 31.37%
유사기업 PER : 25.98배
환매청구권 해당사항 없음
아로마티카 수요예측 결과 및 최종 공모가 공개일 : 11월 17일(월)
희망 공모가 : 6,000원 ~ 8,000원
최종 공모가 8,000원 확정 시 청약증거금 : 80,000원(최소 청약 수량 : 20주, 청약증거금률 50%)
공모금액 : 공모주식(3,000,000주) x 공모가(밴드 상단 8,000원 확정 시) = 240억 원
-신주모집 80%, 구주매출 20%
시가총액 : 상장예정 주식 수(12,715,050주) x 공모가(밴드 상단 8,000원 확정 시) = 1,017억 원
아로마티카 수요예측 결과 좋을 경우 최종 공모가 8,000원 유력합니다. 공모금액 및 시가총액 살펴보면 무게가 가볍습니다. 여기에 공모가 금액이 1만 원 미만입니다. 이러한 종목은 상장 첫 날에 수급 받을 경우 크게 올라가는 경향이 있습니다. 1년 전 공모주 분위기가 안좋았을 때에는 이러한 종목들 상장 첫 날 흐름이 좋았습니다. 그런데 이번에는 반대의 상황입니다. 분위기 아주 좋은 상황에서 가벼운 종목이 등장합니다. 다만, 스팩주 종목 1개와의 동시 상장 가능성이 변수입니다. 수급 분산 우려가 있습니다.
아로마티카 균등 배정 주목하는 분이 많을 겁니다. 수량은 최소 375,000주 입니다. 만약 37.5만 명 이상 신청하면 균등 0주 배정 받는 분들이 나타납니다. 얼마 전 더핑크퐁컴퍼니 청약건수 467,472건입니다. 46.7만 명 청약 신청했다는 뜻입니다. 만약 아로마티카 수요예측 결과 좋을 경우 청약 신청 인원이 늘어나면서 균등 배정 경쟁이 더 치열할 가능성 있습니다. 해당 종목에게는 좋은 흐름이겠지만, 한편으로는 일반 청약자 입장에서 균등 1주 배정 받을 때 운이 따라야 하는 상황이 됩니다.


[사진 = 아로마티카 공모주 일반 청약자 최소 75만 주 포함하여 총 300만 주 공모 형태로 상장 예정입니다. 주관사는 신한투자증권입니다. 일반 청약자 배정 물량 75만 주는 균등 및 비례 각각 37.5만 주 씩으로 나누어집니다. 아로마티카 수요예측 결과 좋을 경우, 지금의 시장 분위기를 봤을 때 1인당 균등 배정 1주 미만 가능성 없지 않습니다. (C) DART 공식 홈페이지]

[사진 = 이 종목의 희망 공모가액 6,000원 ~ 8,000원입니다. 수요예측 결과 좋으면 8,000원 유력합니다. (C) DART 공식 홈페이지]


[사진 = 이 종목이 수요예측 결과 나오기 이전부터 관심을 받는 이유가 있습니다. 최근 공모주 분위기가 좋기 때문입니다. 특히 11월 13일 상장했던 큐리오시스 300% 상승했습니다. 앞으로 상장 예정 종목들 기대감이 커진 이유입니다. (C) 네이버 앱]


[사진 = 이 종목은 11월 27일 코스닥 상장 예정입니다. 이때의 코스닥 및 한국증시 분위기가 어떨지 주목됩니다. 11월 13일 현재 시점에서는 910선으로 올라왔습니다. 전고점 재돌파 가능성 기대되는 구간에 도달했습니다. 11월 말 한국증시 추세가 꺾이지 않는다고 가정하면 코스닥 흐름 좋을 것으로 보입니다. 반대로 코스닥 흐름이 소강 상태일 경우 공모주 중에서는 무게가 가벼운 종목을 긍정적으로 기대하게 됩니다. 무게가 가벼울 수록 수급 붙기 쉽기 때문입니다. 이 종목은 무게가 가벼워서 수급에 대한 기대감이 큽니다. 다만, 다른 스팩주와의 동시 상장에 의한 수급 분산 가능성도 있는데, 앞으로의 상장일 변경 가능성이 있을지 지켜봐야 할 것 같습니다. (C) 네이버 앱]