희토류 관련주 미국 중국 관세 분쟁 수혜 이유
-10월 10일 나스닥 3.56% 하락, 가상화폐 폭락...트럼프, 중국에 100% 추가 관세
-그런데 미국주식 어느 종목은 8.3% 상승...어느 종목일까?
희토류 관련주 미국 주식에 투자하는 분들의 관심이 클 것입니다. 미국 중국 관세 분쟁이 다시 재현되면서 그 가치가 높아졌습니다. 해당 섹터는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 1기 집권 시절에 주가 올랐던 적이 있어서 지금도 그때를 안좋게 기억하는 분이 많을 겁니다. 이번 2기 집권 때에는 지난 4월 초 중국 포함 전 세계를 상대로 상호관세 부과했으며, 특히 중국과는 한때 100% 넘는 초고율 관세 부과하며 미국 주식 및 가상화폐 폭락을 거듭했던 적이 있습니다. 그 이후 잠잠하더니 트럼프 대통령은 오는 11월 1일부터 중국에 100% 추가 관세를 부과하겠다고 밝혔습니다. 기존의 평균 55% 수준에서 평균 155% 적용될 예정입니다. 그러면서 희토류 주목받게 됐습니다.
미국 중국 관세 분쟁 또 시작됐습니다. 중국은 지난 10월 9일 전략 광물인 희토류 및 관련 기술 수출 통제를 발표했습니다. 그러자 트럼프 대통령은 트루스 소셜 통해서 오는 11월 1일부터 중국에 100% 추가 관세 부과하겠다고 밝혔습니다. 두 나라가 서로 맞불을 놓은 상황입니다. 그러자 나스닥 포함한 뉴욕증시 3대 지수가 하락했습니다. 나스닥 지수 3.56%, S&P 500 지수 2.71%, 다우존스30 산업평균지수 1.90% 하락했습니다. 가상화폐 중에서는 알트코인들의 폭락이 두드러졌습니다. 어떤 종목은 한때 40% 넘게 내려갔습니다. 대장주 비트코인도 폭락했으나 알트코인들에 비하면 하락폭은 크지 않습니다. 반면 테더는 3% 올랐습니다.
1. 희토류 뜻, 미국 중국 관세 분쟁 이유는?
희토류 뜻 : 희귀한 흙을 말하며, 자연계에서 흔치 않게 존재하는 금속 원소를 말합니다. 란타넘(La) 세륨(Ce) 네오디뮴(Nd) 등의 총 17가지 금속 원소군을 지칭할 때 쓰입니다. 해당 원소들은 반도체, 전기차 모터, 풍력발전, 스마트폰 등 첨단 전자기기에 필수적으로 쓰입니다.
미국 중국 관세 분쟁 과정에서 희토류 주목받았던 이유는 전 세계 공급의 약 70% 이상 중국에서 생산되기 때문입니다. 만약 중국이 수출 통제하거나 가격을 조정하면 미국 포함한 산업 국가들은 타격을 받기 쉽습니다. 이번에 트럼프 대통령이 중국 상대로 100% 추가 관세 부과하겠다고 언급했던 것은 중국 희토류 수출 통제 조치에 대한 보복입니다. 그만큼 희토류 가치가 얼마나 높은지 알 수 있습니다. 트럼프 대통령이 그린란드를 넘보는 이유도 희토류 때문입니다. 그린란드에 희토류가 많이 매장되었을 것으로 추정되기 때문입니다.
2. 트럼프 1기 집권 시절, 무역 분쟁 속에서 주목 받았던 희토류 관련주
희토류라는 단어는 2018년과 2019년 트럼프 1기 집권 시절의 미중 무역 분쟁 당시에 뉴스에서 수없이 전파됐습니다. 두 나라가 서로 관세 인상하면서 대립했을 때 중국의 협상 카드는 희토류였습니다. 이 과정에서 희토류 관련 기업들의 가치가 커졌습니다. 희토류 공급이 원활하게 이루어지지 못하면서 가격이 급등했기 때문입니다. 이러한 현상이 미국 주식의 조정기를 가져왔습니다.
[사진 = 10월 10일 미국 나스닥 지수 3.56% 하락했습니다. 하루에 이렇게 많이 빠졌던 날은 근래 없었습니다. 지난 4월 관세 여파 이후 6개월 동안 상승 추세가 계속되었으며, 그 사이에 1% 정도 조정이 왔던 날도 있었으나 어느 순간이 되면 다시 오르고 또 올랐습니다. 미국 중국 관세 분쟁이 다시 재현되면서 미국주식 및 가상화폐 불확실성이 나타났습니다. 주식 시장에서는 트럼프 1기 집권 시절을 떠올렸는지 수많은 매물들이 쏟아지면서 하락을 초래했습니다. (C) 아이폰 주식 앱]
3. 나스닥 3.56% 하락, 그런데 이 종목은 8.3% 상승
희토류 관련주 MP 머티리얼즈 10월 10일 미국주식에서 올랐던 대표적 종목입니다. 본장에서 전날보다 8.3% 오른 78.34달러 기록했습니다. 한때는 84.88달러까지 도달했습니다. 2020년 상장 이후 역대 최고가 기록입니다. 최근 3개월 동안 161.1% 올랐다고 합니다.
미국 희토류 관련주 MP 머티리얼즈 상승 이유는 미국 유일의 희토류 채굴 및 가공 기업이기 때문입니다. 지난 7월 미국 국방부가 이 회사에 4억 달러 직접 투자했으며, 같은 달에는 애플이 이 회사와 약 5억 달러 규모의 희토류 자석 공급 계약을 맺었습니다. 이 회사는 미국 국방부 및 애플과 관련있다고 보시면 됩니다. 수많은 희토류를 필요로 하는 미국 입장에서는 해당 기업이 정책 수혜주나 다름 없습니다. 중국 희토류 의존도를 벗어나는 것이 중요하기 때문입니다.
4. 희토류 관련주 ETF 어떤 종목이 있을까?
해외 ETF 중에는 REMX ETF가 있습니다. 희토류 및 리튬 같은 전략자원 생산 기업 분산 투자하는 목적으로 마련된 ETF 입니다. MP 머티리얼즈(7.5%) 비중이 가장 높으며, 리나스 희토류(7.2%) 중국북방희토류그룹(6.8%) 리튬 아메리카스(리튬, 6.5%) 알버말(리튬, 6.2%) 등도 구성됐습니다. 특히 리튬 아메리카스는 최근 급등했던 기업이라 미국주식 투자하시는 분들에게 익숙할 겁니다. 참고로 이 종목은 희토류만의 ETF가 아닌 리튬 등이 포함된 종목입니다.
국내 희토류 관련주 코스피에 상장된 PLUS 글로벌희토류&전략자원생산기업이라는 종목은 지난 10월 10일 18.80% 오른 7,805원 기록하면서 커다란 화제를 모았습니다. 국내 상장된 해외 기업 투자 종목입니다. 한화자산운용이 만든 국내 상장 펀드로서 해외 희토류 및 전략자원 생산 기업으로 구성됐습니다. MP 머티리얼즈 및 중국북방희토류그룹 등 미국 중국 희토류 관련주 종목들도 포함됐습니다.
[사진 = MP 머티리얼즈 10월 10일 78.34달러 기록하면서 전날보다 8.3% 올랐습니다. 이는 미국 나스닥 지수 3.56% 하락과 대조적인 상황입니다. 지난 3개월 동안에는 161.3% 올랐다고 합니다. (C) 토스 앱]
[사진 = REMX ETF는 희토류 관련주 종목입니다. 정확히는 MP 머터리얼즈 구성 비중이 가장 높은 희토류 및 리튬 등의 전략자원 관련 ETF 입니다. 10월 10일에는 7.1% 하락했습니다. 하지만 지금까지 끊임없이 올랐던 종목입니다. 10일 하락은 차익 실현 가능성으로 추측됩니다. (C) 토스 앱]
[사진 = 국내상장 희토류 ETF 종목은 한화자산운용이 운용사인 PLUS 글로벌희토류&전략자원생산기업입니다. MP 머티리얼즈가 구성 종목 중에 하나로 포함됐습니다. 주로 해외 전략자원 기업들입니다. 10월 10일 18.80% 상승으로 주목 받았던 종목입니다. 중국 희토류 수출 통제 소식이 전해지면서 어마어마한 상승률 나타냈습니다. 기존에 이 종목 투자하면서 계속 보유하셨던 분들은 10월 10일에 어마어마한 수익 효과를 내셨을 것으로 예상합니다. (C) 토스 앱]